민간단지 전수조사 결정 이후 무량판 거부감 커져
벽식·기둥식에 비해 다양한 내부구조 등 장점 많아
[미디어펜=서동영 기자]무량판에 대한 거부감이 날로 퍼지고 있다. '무량판 포비아'라는 단어까지 나올 정도다. 건설업계는 장점 많은 무량판 공법이 퇴출되면 국내 아파트 수준이 20~30년 전으로 후퇴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 철근 누락이 발견된 LH 단지 내 지하주차장./사진=서동영 기자

9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교통부는 8일 아파트 전수조사 관련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전문기관 간 협력회의를 열고 공조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지난 7일 다음달 말까지 2017년 이후 준공되거나 현재 시공 중인 무량판 구조 민간아파트 293곳을 조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아파트에 이어 민간아파트까지 무량판 철근누락 조사를 확대하겠다고 한 이후 무량판에 대한 불신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인터넷과 SNS에는 무량판구조 아파트 단지 리스트나 확인 방법에 대한 글이 올라오고 있다. 경기도 내 분양을 앞둔 아파트에서는 홈페이지에 "해당 아파트는 무량판 구조가 아닌 벽식 라멘 혼합구조"라는 공지를 올렸다. 인터넷 부동산 카페에서는 강동구 내 한 아파트가 무량판인지를 두고 회원간 설전이 오갔다. 

건설사들은 이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 장점이 많은 무량판이 자칫 건설 현장에서 사라질 수 있어서다. A건설사 관계자는 "앞으로 어떤 건설사가 무량판을 적용하겠다고 자신 있게 말하겠느냐"며 한숨을 쉬었다.   

무량판 구조는 보를 빼고 기둥만으로 슬래브(콘크리트 천장)를 지지하는 방식이다. 기둥(라멘)식 구조와 달리 보가 없어 층고를 높일 수 있다. 내력벽이 필요한 벽식 구조에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고 층간소음에도 강하다. 벽체를 변경하거나 해체가 가능해 리모델링도 용이하다. 

특히 기둥과 슬래브만 있는만큼 공간활용도가 높고 다양한 내부 디자인으로 건축할 수 있다. B건설사 관계자는 "무량판은 84㎡A, B, C, D처럼 같은 넓이라도 다양한 평형을 뽑아낼 수 있다. 층마다 다른 평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벽식구조와 기둥식구조 및 무량판 구조 특징./사진=국토교통부

무량판 구조는 2000년대 국내 주택 건설에 본격 도입됐다. 이후 성냥갑같은 네모 반듯한 모양의 평형이 줄어들고 다양한 내부구조를 가진 아파트가 출현하게 됐다. 

정부도 무량판 구조 적용을 장려해왔다. 국토부는 분양가상한제 아파트 건설 시 건축가산비에 완전 무량판 구조는 5%, 무량복합구조는 3% 가산점을 적용해 분양가를 올려주고 있다.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에서 무량판 구조를 활용하면 용적률을 10% 상향해준다. 

만약 무량판이 사라진다면 벽식이나 기둥식(라멘) 구조를 사용해야 한다. 갱폼(거푸집)을 이용해 성냥갑 쌓듯이 위로 올라가는 벽식이나 보가 있어 층고가 낮고 공사기간이 긴 라멘 구조로는 다양한 평형을 만들기 어렵다는 게 건설업계 주장이다. C건설사 관계자는 "자칫 대한민국 아파트 주거구조가 20~30년 전으로 후퇴할 수 있다"고 걱정했다. 

정부도 무량판 포비아 확산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차단에 나섰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최근 "무량판 구조를 싸잡아 문제 삼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무량판 공포가 확산된 건 전수조사 지시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무량판이 실제로 퇴출됐을 때 어떻게 수습하려고 일을 키우는 건 지 모르겠다"며 고개를 저었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