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중심 미분양 리스크 확대…일반주택 도급사업도 감소
하반기 지방 중심 분양물량 증가…"배후수요 적어 리스크↑"
[미디어펜=김준희 기자]건설업황 전망이 여전히 ‘흐림’으로 예보됐다. 주택시장이 점차 활성화되는 분위기지만 수도권 선호 입지에 국한됐을뿐더러 지속되는 공사원가 상승 및 착공·인허가물량 감소로 인해 업황 개선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 지방 중심 미분양 리스크 확대 등으로 인해 건설업황 저하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8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는 건설산업에 대해 지방 중심의 미분양 리스크가 확대돼 업황 저하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우선 건설경기 선행·동행지표 하락세 등 업황 부정적 기조가 계속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건설경기 주요 선행지표인 건설수주 규모는 약 95조 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8.3% 감소한 수치다.

특히 주거용 건축부문의 경우 재개발·재건축 수주액이 13조2000억 원으로 10.6% 증가한 반면 신규주택 수주액이 12조9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30조 원 대비 57.8% 줄었다. 일반주택 도급사업을 중심으로 업황 저하가 두드러지고 있다는 평가다.

권준성 나이스신용평가 선임연구원은 “토지를 기확보하고 조합 물량이 존재하는 정비사업과 달리 일반 개발사업의 경우 금리 인상에 따른 사업비 부담과 분양경기 저하로 인한 미분양 위험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동행지표인 주택착공물량 또한 올해 상반기 9만249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0.9%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부산, 대전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줄었다. 특히 대구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4% 감소했다. 공사원가 상승에 따른 사업성 저하 및 프로젝트파이낸싱(PF) 조달여건 악화로 사업이 지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분양 리스크 또한 지방을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6월 전국 미분양물량은 6만6388가구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특히 악성 재고로 분류되는 준공후미분양물량 또한 9399가구로 지난해 11월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초기분양률도 지방은 저조한 수준이다. 올해 1분기 전국 평균 초기분양률은 49.5%로 201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기타지역 평균 초기분양률 또한 29.5%로 낮아졌다. 2분기 전국 초기분양률은 71.6%로 반등한 반면 대구(28.5%), 대전(22.2%), 경북(25.8%) 등 지방에서는 여전히 30%를 하회하는 모습이다.

올해는 수도권을 비롯해 지방 또한 장기평균 수치를 상회하는 입주물량이 진행·계획된 가운데 배후수요가 취약한 지방의 경우 입주물량 증가로 분양률 개선이 제한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입주율 또한 지난 7월 기준 수도권이 82%인 반면 광역시 포함 지방 입주율은 70%를 하회하고 있다. 이는 지방 사업장에서 자금 선투입 또는 미회수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 건설사 현금흐름 저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90.2로 전월 대비 10.6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지방의 경우 전월 98.6에서 이달 88.0으로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충남, 세종, 대구를 제외한 전 지역이 내림세를 보였다.

지난해 이후 건자재, 노무비 등 공사원가가 상승하면서 수익성 저하도 심화하는 분위기다. 나이스신용평가가 집계한 주요 건설사 평균 EBIT/매출액은 지난 2021년 6.5%에서 지난해 4.1%, 올해 상반기 2.5%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결국 착공 및 인허가물량 감소, 지방 중심 미분양 리스크 심화로 인해 건설업황 저하세는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권 선임연구원은 “인허가물량 감소로 향후 12개월 착공물량 역시 저하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며 착공물량 감소로 건설사 중장기적 매출 기반이 취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익성 및 현금흐름 저하, PF 우발채무 부담 삼중고에서 매출 기반 축소는 건설업황 저하세를 지속하게 하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특히 지방 중심 분양물량 증가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건설사들이 미분양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지방 상반기 분양예정물량 중 상당 부분을 하반기로 이연했기 때문”이라며 “지방 중심으로 분양물량이 크게 증가하는 점은 배후수요가 부족한 지방 분양경기 침체를 심화시키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준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