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통해 양적∙질적 성장 이끌어…3년새 영업익 6배
[미디어펜=김연지 기자]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이달 14일 취임 3년을 맞는다. 정의선 회장은 끊임없는 혁신으로 현대차그룹의 양적∙질적 성장을 이끌며 그룹을 글로벌 톱3 기업으로 안착시켰다. 정 회장 취임 이후 현대차·기아 실적은 3년 만에 영업이익 6배 성장도 이뤄냈다. 

13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반도체 수급난,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불안정한 대외 경영환경 속에서도 세계 시장에서 전년 대비 2.7% 증가한 684만5000대를 판매하며 3위에 안착했다. 올 상반기에도 현대차와 기아는 전 세계 시장에서 366만 대가량 판매, 3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합산 영업이익은 17조529억 원으로, 2020년 4조4612억 원의 3.8배를 웃돌았다. 올해도 매 분기 시장 예측을 상회하는 경영실적을 거두며 성장하고 있다. 현대차·기아의 올 1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6조4667억 원으로 토요타와 GM을 제치고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 중 2위에 올랐으며, 2분기에는 7조6410억 원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경신했다. 

올 상반기 국내 상장사 영업이익 1·2위에 오른 현대차·기아의 합산 영업이익률은 10.9%로 글로벌 완성차 업계 최고 수준이다. 증권사 컨센서스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올해 예상 영업이익은 26조6231억 원에 이른다. 정 회장 취임 이후 3년 새 무려 6배 이상 증가하는 셈이다.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업계에서는 SUV·제네시스 등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확대, 품질 경쟁력 향상, 경영환경 능동 대처 등 선택과 집중 전략 및 근본적인 체질개선 노력 등이 현대차그룹의 성장을 이끌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2015년 정 회장(당시 부회장) 주도로 출범한 제네시스는 품질과 디자인 경쟁력 등을 인정받으며 최근 글로벌 누적 판매 100만 대를 돌파, 성공적으로 프리미엄 차량 시장에 안착했다.

품질 경쟁력도 뒷받침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올 초 미국 시장조사 업체 제이디파워가 발표한 내구품질조사(VDS)에서 2년 연속 1위에 올랐다.


◇ '퍼스트 무버' 전략…단기간 세계 전기차 시장서 두각

정 회장의 전기차 퍼스트 무버 전략도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정 회장의 전기차 퍼스트 무버 전략 실행의 출발점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 개발이었다.

정 회장은 "전기차 시대에는 모든 업체들이 공평하게 똑같은 출발선상에 서 있다. 경쟁 업체를 뛰어넘는 압도적인 성능과 가치로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가 돼야 한다"며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개발에 공을 들였다.

정 회장은 E-GMP 개발 당시 경쟁업체들이 비용과 시간 때문에 시도하지 않은 고사양 혁신 기술을 기본으로 적용할 것을 적극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완성도에 있어서도 집요한 마무리를 당부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대차그룹은 E-GMP 기반 신차를 통해 판매 증가, 실적 증대 등의 효과도 톡톡히 봤다. E-GMP 기반 신형 전기차들은 현대차·기아가 글로벌 전기차 톱티어 브랜드로 도약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정 회장은 직접 아이오닉 5, EV6, 아이오닉 6 등 차량의 제품 개발 초기부터 주요 단계를 점검하며 각별히 공을 들였다. 이 차량들은 전 세계 유력 매체들로부터 극찬을 받으며 세계 올해의 차, 북미 올해의 차, 유럽 올해의 차 등 글로벌 3대 올해의 차를 모두 석권했다.


◇ 로보틱스∙자율주행∙SDV 등 미래 모빌리티 신사업 본격화

정 회장과 현대차그룹은 로보틱스, 자율주행,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SDV(소프트웨어로 정의된 차), 수소생태계 등 미래 신사업에도 본격 힘을 쏟고 있다.

로보틱스는 현대차그룹 보스턴 다이내믹스와 로보틱스랩을 중심으로 로봇 분야 기술 초격차 확보 및 핵심 기술 내재화를 위한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가장 혁신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은 2025년까지 모든 차종을 SDV로 대전환해 고객들이 소프트웨어로 연결된 안전하고 편안한 이동의 자유와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현대차그룹은 2020년 설립한 '슈퍼널'을 통해 기술 확보, 기체개발, 사업 기반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8년 미국에서 UAM(도심 항공 모빌리티)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30년 이후 RAM(지역 간 항공 모빌리티) 기체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수소생태계 확장을 위해 현대차그룹의 여러 주체들이 협업하는 '수소사업 툴박스' 구축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수소사업 툴박스는 수소 생산부터 공급망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소사업 모델로 현대차는 향후 HMGMA에 적용할 계획이다.



◇ SDV 고도화·중국 시장 재도약은 과제

현대차그룹은 SDV의 고도화, 중국시장에서의 재도약, 기업문화 혁신 등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첫번째 과제는 SDV의 고도화다. 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의 소프트웨어 파워에 높은 점수를 주고 있지만 최상위권 업체와의 격차가 아직 크다는 평가다.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사활을 거는 분야인 만큼 기술 개발 경쟁은 치열하다. 

현대차그룹은 '제조'에서 '서비스'로 비즈니스 모델을 업그레이드해야 지속가능한 미래 성장을 담보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현대차그룹은 포티투닷을 중심으로 SDV 고도화에 더욱 매진할 예정이다.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중국 시장에서의 부진도 극복해야 할 과제다. 현대차그룹에게 있어 중국 시장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 현대차그룹은 문제점을 파악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중국 시장 회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중국에서 현지 생산시설 최적화와 효율화, 현지 맞춤형 제품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고부가 가치 차량 생산을 늘리고 전 세계에서 전동화가 가장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중국에서 차별화된 상품성을 갖춘 전기차를 지속적으로 선보여 반드시 과거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의지다.

기업문화 혁신도 필요하다. 최근 수년간 현대차그룹의 기업문화는 극적으로 변화해 왔지만 성과를 내는 기업문화로의 변혁이 요구되고 있다. 

정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임직원들에게 "기존의 관성을 극복하고 계속해서 변화하는 '능동적인 기업문화를 만들어 나갈 것"을 당부했다.

정 회장과 경영진이 중국시장 회복, 기업문화 혁신 등의 문제를 충분히 파악하고 공감하고 있는 만큼 과제 극복에 대한 해법을 찾으려는 현대차그룹의 움직임이 더욱 분주해질 전망이다.
[미디어펜=김연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