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좌우할 소수 핵심 플랫폼 ‘지배적 플랫폼 사업자’로 지정해 규제
자사우대, 멀티호밍 제한, 끼워팔기, 최혜대우요구 등 4가지 반칙행위 금지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그동안 ‘기울어진 운동장’ 등으로 표현되는 소수 거대 플랫폼들의 시장 독과점 문제에 대해 칼을 뽑아 들었다. 

   
▲ 공정거래위원회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독과점 플랫폼의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차단하고 소상공인과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보고했다. 이는 윤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국무회의에서 “독과점화된 대형 플랫폼의 폐해를 줄일 수 있는 개선책 마련해 달라”고 지시한 데에 따른 것이다.

최근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T’가 배차 알고리즘을 조작해 자사 가맹택시를 우대함으로써 경쟁사(마카롱 택시 등)는 이미 시장에서 퇴출 또는 시장점유율 회복 불능 상태가 됐다. 또한 구글은 자신과 거래하는 게임사들이 원스토어에 앱을 출시하지 못하도록 방해해, 원스토어의 경쟁력은 크게 위축된 반면, 구글 독점력은 90%까지 더 강화되기도 했다. 

공정위는 이렇듯 거대 독과점 플랫폼이 스타트업 등 경쟁 플랫폼의 출현을 저지하거나 시장에서 몰아내는 등 각종 반칙행위를 통해 빠르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높여가고 있다고 봤다. 이같은 플랫폼 시장의 독과점화는 수수료 및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소상공인과 소비자 등 민생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1일 민생타운홀 미팅에서 “플랫폼이 경쟁자를 다 없애고 시장을 완전히 장악해 독점한 후 가격을 인상하는 행태에 대해 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해외 각국도 플랫폼 독과점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 및 독일에서는 이미 디지털시장법 및 경쟁제한방지법 등 대응 입법을 완료한 상황이다.

이에 공정위는 플랫폼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독과점 규율개선 전담반(TF)을 구성해 9차례에 걸친 논의를 진행했다. TF에서는 독과점 폐해가 빠르게 확산되는 플랫폼 시장으로 인해 현행 규율체계의 보완이 필요하며, 최종 추진 방향은 정부가 입법정책적 판단을 통해 결정키로 입장을 모았다.

공정위는 이러한 TF 논의내용과 해외 입법례, 그간 법집행 경험 등을 바탕으로 독과점 플랫폼의 반칙행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칭)플랫폼 경쟁촉진법’ 제정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제정안에는 플랫폼 시장을 좌우할 정도로 힘이 큰 소수의 핵심 플랫폼을 ‘지배적 플랫폼 사업자’로 지정하고 자사우대, 멀티호밍 제한 등 플랫폼 시장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반칙행위들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멀티호밍 제한은 자사 플랫폼 이용자에게 경쟁 플랫폼 이용을 금지하는 행위를 말한다.

지정기준은 플랫폼 산업의 혁신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독점력 남용은 규율할 수 있는 방향으로 마련하고, 지정 과정에서는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지정 전 의견제출, 지정 후 이의제기, 그리고 행정소송 등 항변 기회를 다양하게 보장할 예정이다.

플랫폼 사업자들이 반칙행위를 했음에도 그 행위에 정당한 이유가 있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경우 금지 대상에서 제외하고, 그 이외에는 시정명령, 과징금 등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독과점 플랫폼의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차단하고 소상공인과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보고했다./사진=공정위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그간 공정위는 공정거래법을 통해 독과점 플랫폼의 반칙행위에 대응해 왔으나, 플랫폼 시장의 독과점화 속도에 비해 공정위 조치는 너무 뒤늦게 이뤄져 공정한 시장 경쟁 회복에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플랫폼 경쟁촉진법’ 제정 추진을 통해 플랫폼 시장에서의 반칙행위에 보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전 예방 효과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또한, 플랫폼 시장에서 독과점 플랫폼들의 반칙행위를 차단함으로써 소상공인과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 한편, 스타트업 등 플랫폼 사업자들의 시장 진입 및 활동이 보다 활성화돼 플랫폼 산업의 혁신과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