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경제활동참가율 63.6%, 고용률 61.6%
내달 중 '사회이동성 개선방안' 발표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지난달 고용률이 61.6%로 전년 동월 대비 0.5%p 증가해 2월 기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이에 힘입어 지속적인 고용시장 성장을 위해 정부가 산업구조 전환에 나선다.

   
▲ 고용노동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고용노동부는 15일 개최된 관계부처 합동 제15차 일자리전담반(TF)에서 '2월 고용동향'을 점검하고, '사회이동성 개선을 위한 주요 정책과제'와 '2022∼2032년 중장기 인력수급 및 추가 필요인력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13일 발표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경제활동참가율은 63.6%, 고용률 61.6%로 모두 2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견조한 고용 흐름을 지속했다. 

수출 개선 등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경제활동참가와 고용이 함께 증가하고 구직활동이 늘어나며 실업자도 소폭 증가하는 모습이지만, 실업률은 3.2%로 2월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낮으며 확장실업률은 9.8%로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도 2개월 연속 30만 명대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계절조정취업자 수도 3개월 연속 전월 대비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감소세를 지속하던 제조업은 수출 회복에 힘입어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 연속 증가했고, 서비스업도 청년층이 선호하는 정보통신업과 전문과학기술업을 중심으로 20만 명대 취업자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정부는 국민 경제 및 노동시장의 지속적 성장과 번영을 위해서는 중기적 대응이 필요하며, 현재의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고 판단했다. 이에 산업구조 전환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인구구조 변화로 인한 노동력 감소에 대응해 청년·여성·중장년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추진에 집중한다.

정부는 올해 '산업전환고용안정법' 시행과 석탄화력발전·자동차 산업 모니터링 실시 등 산업전환으로 인한 일자리 위험에 만반의 준비를 하고, 청년·여성·중장년 등 대상별 맞춤형 정책을 추진한다.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도록 일경험 기회를 10만 개까지 확대하고, 'K-디지털 트레이닝' 등 디지털·첨단분야 훈련과 '재학-구직-재직' 단계별 맞춤형 취업지원을 강화한다.

여성이 일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유연근무에 대한 컨설팅·인프라·장려금 지원을 확대한다. '워라밸 행복산단 지원사업'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육아지원제도 강화를 위해 '남녀고용평등법' 등 관련 법 개정을 적극 지원하는 등 일·육아 병행이 가능한 고용환경을 조성한다. 

중장년도 원하는 만큼 일할 수 있도록 사회적 대화를 통해 계속고용 기반을 조성하고 전직 지원을 강화한다. 

또한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협업해 '사회이동성 제고방안'을 마련하고, 단기적으로 현장에 필요한 인력을 적재적소에 공급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산업·지역 전문가로 구성된 '빈일자리 현장점검반'을 운영해 현장 애로를 파악할 계획이다.

아울러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동시장 환경 개선 등 역동 경제의 한 축인 '사회이동성 개선방안'을 관계부처와 함께 구체화해 4월 중 발표할 계획이다.

이성희 고용부 차관은 "올해 16만5000명의 외국인력(E-9)이 적기에 현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고용허가서 발급과 체류 지원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정부는 앞으로도 '일자리 TF'를 중심으로 고용시장을 면밀히 점검하고, 일자리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