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정보원,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발표
2032년까지 경제활동인구 31만6000명 증가…증가 폭 10분의 1로 축소
"잠재인력 노동시장 진입 촉진해야…대상별 차별화 정책 필요"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경제활동 인력 공급 제약 영향으로 2028년부터 취업자 수와 고용률이 감소하고, 향후 10년 동안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2032년까지 89만4000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 중장기 인력수요 전망(노동력 공급제약하, 천명)./사진=고용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이 19일 발표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는 2022년부터 2032년까지 31만6000명 증가하지만, 과거 10년간 증가 폭의 10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15세 이상 인구는 2032년까지 증가하지만 증가폭은 지속 둔화되고, 지난 10년간 증가폭의 3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15~64세 인구는 2018년 감소 전환된 이후 감소 폭이 확대되고, 65세 이상 인구는 2032년 전체 인구의 3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활동인구는 2027년까지 56만4000명까지 증가하다가 2028년부터 감소 전환돼 2032년까지 24만8000명 줄어들고, 양적인 축소뿐 아니라 고령층 비중 확대 등 구성 효과로 인해 노동 공급에 제약 여건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2025년까지 상승하지만, 경제활동참가 성향이 낮은 70세 이상 고령인구가 2022년 13.2%에서 2032년 21.5%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2026년부터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취업자 수는 2022~2032년 기간 동안 30만9000명 증가하나, 2027년까지 증가를 지속하다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드는 2028년부터 공급 제약 영향을 받아 감소 전환할 것으로 예측했다.

   
▲ 2022~2032 취업자수 및 추가 필요인력 전망(천명)./사진=고용정보원


산업별로는 고령화·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보건복지서비스업 중심(66만9000명)으로 취업자가 증가하는 반면, 온라인 거래 활성화 등 산업구조 전환 영향으로 제조(△14만5000명), 건설(△12만6000명), 농림어업(△9만4000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직업별로는 전문가(52만2000명), 서비스직(50만2000명)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고, 판매직(△32만2000명), 장치·기계조작(△18만6000명), 기능원(△11만1000명) 등에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2022년 62.1%에서 2032년 61.3%로 0.8%p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고용정보원은 인력 공급 제약이 수요에 영향을 미치며 취업자 수와 고용률은 2028년부터 감소 전망되는 가운데, 향후 10년 동안 지속적인 경제성장(1.9~2.1%)을 위해 2032년까지 추가 인력 89만4000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추가 필요인력은 2027년 7만1000명 수준이지만, 이후 급격히 증가하면서 2032년 89만4000명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추가 필요인력의 양상은 상이한데, 산업별로는 향후 10년간 고용 증가가 가장 큰 보건복지업뿐 아니라, 고용이 감소 전망되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에서도 상당할 것으로 예측했다. 

직업별로는 고용 증가가 전망되는 전문직과 서비스직, 고용 감소가 전망되는 생산직과 판매직, 사무직에서도 상당한 규모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고용정보원은 "향후 노동력 부족 현상이 가시화될 것임에 따라 잠재인력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지원과 제반 체계, 고령자 이·전직 지원 정책 등 대상별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인력 수요 변화는 분야별로 상이한 양상으로 전개될 것이 예상되므로 업종·직종별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다만 추가 필요 인력 89만 명 중 내국인과 외국인 규모에 대해서는 "외국 인력 등 정책과 관련이 되기 때문에 아주 정확한 숫자가 나올 때까지는 공개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