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5월에도 국민 먹거리 물가 부담 완화에 최선
긴급 가격안정대책 추진 및 농축산물 생육관리 만전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안정 추세를 보이자, 정부가 맞춤형 정책을 통해 먹거리 물가 낮추기에 총력을 다하는 모양새다. 

   
▲ 농림축산식품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전체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9%로 지난 1월 이후 3개월 만에 3% 아래로 떨어졌다.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먹거리 물가도 지난달보다 대체로 낮아지는 모습을 보이며, 전체 2.9% 상승률에 대한 농식품 분야의 기여도도 1.33%p로 전월 1.44%p에 비해 줄어들고 있다.

먼저 농산물 물가는 기상 호전에 따른 출하량 증가와 정부의 긴급 가격안정대책 추진에 힘입어 전월 대비 3.9% 하락했다.

또한 축산물 물가는 계절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내산 축산물의 공급 안정과 지속적인 할인행사 추진으로 전월 대비 0.1% 감소했다.

특히 최근 국제유가 불안 및 환율 상승 등에 따른 원가 상승 부담 속에서도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대의 낮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외식 물가는 지난해 4월 이후 상승률 둔화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이해 국민들의 먹거리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먼저 5월에도 소비자부담을 직접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긴급 가격안정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과일‧채소류에 대한 납품단가 지원은 품목별 가격과 수급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탄력적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이며, 특히 5월에 소비 비중이 큰 참외‧수박 등 제철 과채류와 전통시장에 대한 지원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에 더해 저장물량이 부족한 사과의 수요를 대체하기 위해 바나나, 키위, 체리 등 11개 과일에 대한 직수입 할인 공급을 6월 말까지 5만 톤 수준으로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행락철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위해 한우‧한돈 할인행사를 매월 추진하고, 계란과 닭고기에 대한 유통업체 납품단가 인하를 연말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업계와 소통을 강화해 경영부담 완화를 위한 과제를 발굴하고, 물가 안정을 위한 협력체계를 보다 견고히 구축한다. 

박순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농식품부는 4월의 물가 추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긴급 가격안정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농축산물 생육관리에도 만전을 기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