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일부 식품기업의 가격 인상 계획에 대해 코코아두·과일농축액·올리브유·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국제유가·환율 등 대외 부문 불안정, 누적된 경영비 부담 등이 복합 적용된 것으로 보고, 소비자 체감도가 높은 가공식품 물가안정을 위해 업계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
 |
|
▲ 농림축산식품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정부는 그간 일부 식품기업의 가격 인상 계획에 대해 어려운 물가 여건을 감안해 최대한 자제하여 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특히, 지난 4~5월 가격 인상 계획을 밝힌 기업들과 수십차례 협의하는 등 적극 소통해 6월 이후로 인상 시기를 이연하고, 인상률·인상 품목을 최소화하는 한편, 자체 할인행사 등도 추진해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해 업계와 함께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A사의 경우, 4월 중, 1개 품목 50여 종 인상 계획 제시한 바 있으나, 이를 6월 초 1개 품목 50여 종 평균 15% 내·외 인상 및 인상 품목 할인행사로 변경했다.
또한 B사 역시 4월, 12개 품목 130여 종 인상 계획 제시했지만, 6월 초, 6개 품목 40여 종, 평균 7% 내·외 인상 및 인상 품목 할인행사, 샘물 2종 평균 약 10% 인하로 인상 폭을 완화시켰다.
이외에도 C사는 지난 2022년 7월부터 가격 인상 필요성 제기했고 올해 5월 초, 20개 품목 170여 종 인상 계획 제시한 바 있으나 정부와의 소통을 통해 6월과 7월로 분산, 10개 품목 125여 종 평균 10% 내·외 인상으로 완화한 바 있다.
농식품부 양주필 식품산업정책관은 “정부가 개별기업의 제품 가격 결정에 직접 개입할 수 없지만 소비자 물가 안정을 위해 가격 인상 자제 협조 요청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업계 및 관계부처와 기업의 원가 부담 완화를 위한 과제를 적극 발굴·해소하는 등 가공식품 물가 상승폭이 둔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