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준희 기자]대한의사협회가 오는 20일 집단휴진에 들어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의료계 혼란도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
 |
|
▲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으로 의료대란이 가시화 되자 정부가 일반 환자에 대해 국군병원 응급실 12곳을 개방한 지난 2월 20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국군수도병원 응급실에서 의료진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사진=사진공동취재단 |
8일 연합뉴스가 의료계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의협은 오는 20일을 집단휴진 시작일로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20일은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집단휴진일로 설정한 17일과 같은 주다.
의협은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의대 비대위 집단휴진 결의를 환영하며 “전국 의사들이 함께 행동해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지난 4일 진행된 의협 휴진 찬반 투표에서는 투표 인원 12만9200명 중 7만800명이 참여해 투표율 54.8%를 기록했다. 의협은 2014년과 2020년 집단행동에 대한 투표보다 투표율이 높다며 “의료농단 저지에 대한 강한 의지”라고 강조했다.
의협은 휴업 찬반 투표 결과를 오는 9일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집단행동 개시를 시사하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어 가결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전날 보도자료에서도 의협은 “대표자대회는 의료계 투쟁역사에서 교수, 봉직의, 개원의 등 모든 직역이 한뜻으로 행동하기로 결정하고 결행하는 최대 규모의 단체행동이 될 것”이라고 했다.
서울의대 교수들에 이어 의협 파업 돌입이 가시화하면서 전공의 이탈 이후 4개월째 지속되고 있는 의료 현장 혼란도 심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전국 20개 의대 소속 교수들이 모인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 또한 전날 의협 투표 결과에 따르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다만 실제 의대교수와 개원의 등이 집단행동에 얼마나 참여할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의협이 휴진에 돌입한다 해도 동네 병원이 문을 닫는 일은 적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 지난 2020년 집단행동 당시 개원의 참여율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정부가 최근 복귀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을 중단하는 등 유화책을 펼친 상황에서 여론이 우호적이지 않은 점도 부담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지난달 28~29일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5.6%가 “의대 증원에 반대해 진료 거부, 집단 사직, 휴진 등 집단행동을 하는 전공의와 의대 교수들이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답했다.
[미디어펜=김준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