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적정생산 대책 추진 통해 약 68만 3000~ 68만 9000ha 전망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월부터 추진한 2024년도 쌀 적정생산대책을 통해 올해 벼 재배면적이 68만 3000 ~ 68만 9000ha로 전망된다고 23일 밝혔다.

   
▲ 벼수확 장면./사진=경기도 제공


이는 전략작물직불, 지자체 예산활용(감축협약 포함), 농지은행, 농지전용을 통해 당초 계획(69만 9000ha)보다 1만 ha 이상 추가 감축하는 것이며, 지난해(70만 8000ha) 대비로도 1만 9000~2만 5000ha를 감축하는 것이다.

당초 농식품부는 예상 수요량 등을 감안해 올해 적정 벼 재배면적을 69만 9000ha로 전망하고 지난 4개월 동안 지역별 쌀 적정생산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특히 2023년산 산지쌀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지자체 협의, 농가 참여 독려 및 현장 홍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 결과 전략작물직불제와 지자체 예산활용을 통해 2만2881ha, 농지은행 매입 1827ha, 농지전용 7400ha 등 3만 2108ha의 벼 재배 감축면적이 접수됐다.

다만 전략작물직불제 및 지자체 예산활용을 신청한 이후 벼 재배로 회귀하는 면적을 감안할 때 실제 벼 재배면적은 68만 3000~68만 9000ha로 전망됐다.

이런 추가 감축은 전략작물직불 지원대상 품목을 논콩에서 완두·녹두·잠두·팥 등을 포함한 두류 전체로 확대하고 옥수수를 신규로 추가했으며, 두류와 가루쌀의 지원단가를 헥타르당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100만원씩 인상했고, 이러한 내용을 현장 농업인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고 참여를 유도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것이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농식품부는 1만ha 이상의 추가 감축을 통해 5만톤 이상의 2024년산 쌀 생산량 감소를 예상했다. 이를 활용해 2023년산 쌀 5만톤을 쌀값 안정을 위해 식량원조용으로 정부가 매입하기로 지난 6월 21일 열린 민당정 협의회에서 결정한 바 있다.

농식품부 최명철 식량정책관은 “벼 적정생산을 통한 수급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지자체, 농협, 농진청, 쌀생산자단체 등과 함께 총력을 다해 노력할 계획”이라면서 “앞으로도 여름철 태풍, 장마, 가뭄 등 재해 대응 및 신속한 병해충 방제 등을 통한 안정생산을 추진해 수확기 수급 안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