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금융감독원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27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가상자산 불공정거래 조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
|
▲ (왼쪽부터) 이재훈 금융감독원 가상자산조사분석팀장, 문정호 금융감독원 가상자산조사국장, 김병칠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장, 오진영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산업본부장, 이성재 한국인터넷진흥원 보안기술단장, 박용규 한국인터넷진흥원 박용규 위협분석단장, 지승구 한국인터넷진흥원 침해대응기술팀장./사진=금융감독원 제공 |
최근 가상자산시장에서는 장내 시세조종 행위 외에도, IT기술이 결합된 형태의 부정거래 의혹이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특정 코인 네트워크에 사이버공격이 발생해 해당 코인 블록체인상 일반 투자자들의 코인 전송(이체)이 제한됐음에도, 발행재단이 보유한 코인은 정상적으로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로 대량 이체된 후 현금화된 사건도 있었다.
이에 양 기관은 각자의 전문분야인 불공정거래 조사업무와 IT보안업무를 공조해야 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다.
이에 양 기관은 가상자산 시장을 교란하는 사이버 침해사고에 대한 조사 협력체계를 마련하고, 가상자산 추적정보도 상호 공유할 예정이다. 더불어 조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인력을 교류하는 한편, 건전한 가상자산시장 조성 및 이용자 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등에 대해 상호 협력체계를 다질 방침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그간 국내 가상자산시장에 대한 규제 공백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점이 부각돼왔으나, 올해 7월 법 시행에 따라 불공정거래 규제가 본격화될 예정이다"며 "가상자산 시장의 불공정거래는 기존 자본시장 조사와는 달리 사이버공격 관련 사실관계 확인 등 디지털 정보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보여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사이버공격을 가장하거나 디지털정보를 조작하는 형태의 불공정거래 행위에 대해 KISA의 협조를 바탕으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상중 KISA 원장은 "최근 점차 지능화되고 있는 사이버범죄 대응을 위해서는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수사기관 및 유관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KISA는 그동안 사이버범죄에 연루된 가상자산을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수사기관과의 업무 협력을 추진해왔다"고 밝혔다.
이어 "양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전문역량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협력모델을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