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환경부는 2일 이병화 환경부 차관이 취임 후 첫 현장 행보로 도시 침수 피해가 발생했던 구리시 인창동과 수택동 인근 도시침수 대응시설을 찾았다고 밝혔다.
|
 |
|
▲ 환경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해당 지역은 2011년 여름철 집중강우로 하수관로가 막히고 빗물펌프장 용량 부족 등으로 인해 건물 30여 동이 침수되고, 주민 280여 명이 대피하는 일이 있었다.
환경부는 2017년 인창 배수구역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하고, 그해부터 2021년까지 국비 110억 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157억 원을 투입해 하수관로 확장공사와 빗물 펌프장 증설공사를 수행한 바 있다.
또한 2022년 인근 수택 배수구역을 추가로 지정해 내년까지 총사업비 89억 원(국비 62억 원)을 들여 하수관로 확대와 결함관로 정비 등 하수관로 2.333㎞를 정비함으로써 하수 흐름을 강화해 침수를 완전히 해소한다는 구상이다.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은 하수 범람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이 대상이다. 지정 후에는 지역 특성에 맞춰 하수관 용량 키우기와 빗물펌프장 설치, 하수저류시설(빗물 터널) 설치 등 하수도를 정비해 도시침수를 예방하는 사업이다.
앞서 환경부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94곳을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해 1조7889억 원의 국고를 지원한 바 있다. 올해도 도시침수 예방사업에 3275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지난달 기준으로 53곳의 지역에서 하수도 시설 정비가 완료돼 침수 피해 우려가 해소됐다.
이병화 차관은 "기후 변화로 인해 여름철 집중호우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침수 예방을 위해 하수도 역할이 중요한 만큼 앞으로도 하수도 기반시설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국민이 안전할 수 있도록 철저하게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