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지난해 반려견·반려묘가 총 329만 마리로 증가한 반면, 유실·유기동물 신고·구조는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진료받고 있는 반려견./사진=농진청 |
농림축산검역본부는 23일, ‘동물보호법’에 따라 실시한 2023년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검역본부는 지방자치단체의 동물 등록,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 및 반려동물 영업 현황 등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를 매년 조사·발표하고 있다.
2023년 개·고양이 신규등록은 전년대비 (30만 3000마리)보다 10.4% 감소한 27만 1000마리이나, 누적 등록 개체수는 7.6% 증가한 328만 6000마리가 됐다.
특히 고양이 등록은 자율적인 선택임에도 동물 유실 방지 등을 위해 신규 등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무 등록 대상인 개는 과거에 목걸이형 등 탈착이 쉬운 외장형이 선호됐으나 무선식별장치를 체내에 삽입하는 내장형이 꾸준히 증가해 외장형과 내장형의 격차가 크게 감소했다.
2023년 신규 동물 등록은 여성(60.9%)이 남성(38.9%)의 약 1.6배이며, 연령별로 40대 소유자가 25.1%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30대(22.1%), 20대(22.0%), 50대(16.2%) 순으로 나타났다.
유실·유기동물의 발견 신고 및 구조는 감소 추세로 2023년은 전년보다 0.3% 감소한 11만 3000마리를 구조했다.그 중 4만 4000 리(39.2%)는 소유자에게 반환되거나 입양·기증됐고 3만 1000마리(27.6%)는 자연사, 2만 마리(18.0%)는 인도적 처리됐으며 1만 5000마리(13.3%)는 지자체의 동물보호센터에서 보호되고 있었다.
2023년 구조동물의 입양 개체수는 신규 등록 감소와 함께 전년(3만 1000마리)보다 12.3% 줄어든 2만 7000마리로 감소했으나, 2023년 신규 등록 대비 입양 비율은 10.1%로 2022년(10.3%)과 유사하며 2021년(7.4%)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의 구조·보호를 위해 지자체가 운영하는 동물보호센터는 2023년 228개소로 전년(239개소) 대비 11개소 감소했으나,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센터는 7개소가 증가했고 종사 인력과 운영비도 전년대비 각각 10.1%, 26.8% 증가하는 등 동물의 구조·보호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자체가 직접 설치·운영하는 동물보호센터는 71개소이고, 동물병원, 동물보호단체 등 자체 시설에 운영을 위탁한 곳이 152개소, 지자체 시설을 이용해 민간기관에 운영을 위탁한 곳이 5개소였다. 지자체가 도심지나 주택가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해 자생적으로 살아가는 고양이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한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은 전년(10만 4000마리)보다 16.4% 증가한 12만 2000마리에 대해 시행됐다.
반려동물 관련 영업장(총 8종)은 전년(2만 2000개소)보다 6.8% 감소한 2만 575개소로 나타났다. 동물 미용업이 8404개소(40.8%)로 가장 많았고, 위탁관리업 4820개소(23.4%), 판매업 3154개소(15.3%), 생산업 2011개소(9.8%), 운송업 1477개소(7.2%), 전시업 541개소(2.6%), 수입업 94개소(0.5%), 장묘업 74개소(0.4%)가 허가·등록됐다. 그 중 동물 장묘업과 운송업은 매년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장묘업이 많이 허가된 지역은 경기도(27개소), 경상남도(9), 경상북도(7) 순이며 장묘시설이 없는 지역은 서울시·대전시·제주도이었다.
김정희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반려동물 양육가구 증가와 함께 동물정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라며 “앞으로 국민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을 통해 제공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