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지역 온실가스 통계 산정을 위한 협력과 업무 교류 강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지역 맞춤형 탄소중립을 지원하는 '지역 온실가스 통계산정 협의체'가 출범한다.
|
 |
|
▲ 환경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지자체 탄소중립지원센터와 지역 주도의 상향식 탄소중립 실현을 지원하기 위해 오는 6일 '지역 온실가스 통계산정 협의체'를 공식 출범한다고 5일 밝혔다.
협의체는 이날 착수회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 자리에서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와 17개 광역지자체 탄소중립지원센터는 '지역 온실가스 통계산정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한다. 협의체 출범과 협약 체결로 지역 온실가스 통계 산정 기관 간 정보 교류가 활성화되고, 지역별 특성이 반영된 온실가스 통계 산정 기반이 마련된다.
각 지자체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지난해 4월 수립된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지역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이행 상황을 점검한다. 지자체 기본계획에는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흡수 현황과 전망이 포함되고,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발표하는 지역 온실가스 통계를 활용해 기본계획에 제시한다.
지역별 온실가스 통계는 각 지자체와 유관기관 등으로부터 확보한 약 2만2500개의 지역별 기초통계를 기반으로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토지이용·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LULUCF) ▲폐기물 ▲간접 등 6개 분야에 대한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현재 2010년부터 2021년까지의 통계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홈페이지에 공개돼 있다.
탄소중립지원센터는 지자체 탄소중립 계획 수립과 시행, 지역 온실가스 통계산정 등을 지원하기 위해 지자체에서 설립 또는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현재 17개 광역지자체 탄소중립지원센터와 30개 기초지자체 탄소중립지원센터가 운영 중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자체 기본계획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신뢰할 수 있는 온실가스 통계가 뒷받침돼야 한다. 이를 위해 통계 산정에 필요한 기초자료 조사와 통계 산정 방법론 개발 등에 대해 국가온실가스 통계를 총괄하는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와 지자체 탄소중립지원센터 사이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게 중론이다.
이에 이번에 구성되는 협의체에서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와 17개 광역지자체 탄소중립센터 간 지역 온실가스 종합 관리체계 구축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공유한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기초자료 조사 체계 개선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지자체 통계산정 역량 강화 교육과 상담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할 예정이다.
정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이번 협의체 출범이 지역별 맞춤형 탄소중립 전략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굳건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지역 사회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모두가 참여하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