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인증받은 4종 일반 공개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 및 대응책 마련 기초자료 활용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농촌진흥청이 생산해 기상청으로부터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로 인증받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4종(SSP1-2.6, 2-4.5, 3-7.0, 5-8.5)이 이번 달부터 농진청 농업기상정보포털 ‘농업날씨 365’를 통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 농촌진흥청이 생산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사진=농진청


SSP는 RCP(인간 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에 따른 시나리오) 개념에 미래 사회경제변화까지 고려한 시나리오로, SSP1-2.6은 온난화 2도 제한했을 때, 2-4.5는 온실가스를 상당히 저감했을 때, 3-7.0과 5-8.5는 기후 정책이 부족한 경우를 뜻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란 인간 활동에 따른 지구의 기후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기온, 강수, 습도, 바람 등 미래 기후를 예측한 정보다.

농진청은 ‘신농업기후변화대응 체계 구축 1단계(2020~2023년) 사업’에 따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에서 채택된 신규 온실가스 경로 시나리오(SSP)를 바탕으로 2100년까지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했다. 2022년에는 기상청으로부터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로 인증받은 바 있다.

이번에 제공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4종은 18개 전 지구 기후모형에서 산출한 전 지구 규모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적용해 한반도 미래 기후를 1km 격자 단위로 작성한 것이다.

전 지구 기후모형은 기후시스템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인 대기, 해양, 지표, 빙권 등의 물리 과정을 포함해 전 지구적인 기후시스템을 표현한 복잡한 모형으로, 전 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는 데 사용된다. 

농진청은 이번 공개를 위해 1km 격자 단위 정보를 167개 시군구 행정구역 단위로 변환했다. 현재 제공하고 있는 기후 요소는 월 단위 최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풍속, 상대습도, 일사량이다. 18개 전 지구 기후모형에서 산출된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들의 평균(앙상블 평균)뿐만 아니라 18개 모형에서 산출한 각각의 상세 시나리오 정보들도 쉽게 내려받을 수 있도록 구성해 사용자 접근성을 높였다.

이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과거 30년(1981~2010년) 동안의 우리나라 기후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적인 보정 작업을 거쳤기 때문에 우리 농업 부문의 기후변화 변동예측과 평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연구, 국가나 지역별 기후변화 대응 정책 개발, ESG 경영 전략 수립, 교육 자료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국립농업과학원의 농경지 양분 유출 평가,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업용수 평가, 한국담배인삼공사의 인삼재배 적지 평가 등에 활용되기도 했다.

농진청은 농업 부문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에 단일 기후모형만 사용하면 모형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어려우나 농진청이 제공하는 시나리오는 18개 모형을 활용해 전 지구 기후모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도 함께 평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농진청은 앞으로 농림축산식품부의 디지털 농업지도로 농경지(논, 밭, 과수) 기후변화 시나리오 정보를 생산해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농업적 활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기후변화평가과 신재훈 과장은 “이번 자료가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취약성 평가와 대응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많이 활용되길 바란다”며 “농업 연구자들이 기후변화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작물 적지와 생산성 변화, 생물다양성과 생물계절 변화, 돌발·외래 병해충·잡초 이상 발생 등에 관한 다양한 기후변화 연구가 활기를 띨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