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국내 기업이 지난해 오만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에 이어 올해 호주에서 그린수소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
 |
|
▲ 사업조감도./사진=환경부 |
환경부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26일 호주 퀸즐랜드주 브리즈번시에서 호주기업 '라이온 에너지', 일본기업 자회사 'DGA 에너지 솔루션스 호주'와 함께 그린수소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개발 협약 사업은 호주 브리즈번시 인근 항구 지역에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짓는 것이 골자다. 오는 2026년 시설이 완공되면 연간 최대 300톤의 그린수소가 호주 내수시장에 공급될 전망이다.
삼성물산은 이 사업에 개발사로 참여해 설계부터 기자재 조달과 공사, 시운전 등 전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동호주와 서호주에서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올해 호주를 그린수소 중점협력 국가로 선정해 ▲고위급 및 실무급 수주지원단 파견 ▲양국 정부 간 공동 토론회(포럼) 개최 ▲타당성조사 ▲시장개척단 파견 등 전방위적인 수주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호주는 재생에너지 여건이 우수해 풍력 및 태양광 발전과 그린수소 사업 등 국내기업의 녹색산업 진출이 활발하다. 삼성물산 외에도 고려아연은 2021년 호주에 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에 특화된 자회사 '아크에너지'를 설립해 녹색산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아크에너지는 스페인의 세계적인 재생에너지 기업인 악시오나 에너지와 퀸즐랜드주에 호주에서 가장 큰 규모(923㎽)인 맥킨타이어 풍력발전소를 건설하고 있다. 이 풍력발전소는 내년 하반기에 본격적인 상업 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한 퀸즐랜드주 타운스빌 지역에 그린에너지 허브를 구축해 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김완섭 장관은 "국내기업의 그린수소 사업 해외 진출은 세계 시장에서 우리나라 녹색기술의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계기"라며 "중동, 호주 외에도 북남미, 아프리카 등 세계 시장에 국내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환경부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