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지난해 극심한 가뭄을 겪은 광주광역시를 물순환 촉진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
 |
|
▲ 윤석열 대통령이 5일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스물여덟 번째, 첨단기술과 문화로 미래를 디자인하는 광주'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은 5일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스물여덟 번째, 첨단기술과 문화로 미래를 디자인하는 광주'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광주는 지난해 극한 가뭄으로 제한급수 상황까지 고려되는 등 물관리 취약성이 높은 지역이다. 물관리 취약성이란 물공급과 물재해, 수질 및 수생태계 등 물관리 여건이 좋지 않은 것을 뜻한다.
특히 광주는 지난해 가뭄 당시 농업용수로 쓰던 영산강 하천수를 먹는물로 활용한 바 있어, 하천수의 다각적인 활용에 대비한 수량 확보와 수질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광주시를 물순환 촉진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물순환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다음 달 25일부터 시행되면 전국 단위의 물순환 실태조사가 이뤄지고, 물순환 촉진구역도 지정된다. 지정 절차 이후 그간 개별법에 따라 나눠서 진행되던 물순환 사업은 물순환 촉진사업에 맞춰 통합·연계돼 시행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내년에 국가 차원의 실태조사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실시하면 물순환 촉진구역 지정은 2026년쯤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그 이듬해 종합계획 수립을 거쳐 2027~2028년쯤 이행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광주시뿐만 아니라 수자원이 부족하거나 물 재해에 노출된 다른 지역들도 물순환 촉진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