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지난해 기업이 근로자 1명에게 쓰는 월 평균 비용이 전년 대비 1.9% 증가한 613만1000원으로 조사됐다.
|
 |
|
▲ 2023 회계연도 기업체비용조사./사진=고용부 |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기업체노동비용조사에 따르면 2023년 상용근로자 1인당 월 평균 노동 비용은 613만1000원으로, 전년(601만6000원) 대비 1.9% 증가했다.
노동 비용의 전년 대비 상승률은 2021년 8.2%에서 2022년 2.8%, 2023년 1.9%로 줄고 있다. 노동비용 상승률 둔화는 상여금과 성과급 감소 등으로 직접노동비용 상승률 둔화 및 퇴직급여 등 비용 감소 등에 따라 간접노동비용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임금 등 직접노동비용은 489만3000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 정액급여 및 초과급여(413만7000원)는 건설업과 제조업 등에서 상승률 확대 등으로 전년보다 5.0% 늘었다. 상여금 및 성과급(75만6000원)은 2021년과 2022년에 확대됐던 기저영향과 지난해 제조업, 금융 및 보험업 등 실적 저조 등으로 8.0% 줄었다.
퇴직급여 등 간접노동비용은 123만8000원으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퇴직급여 등의 비용이 1인당 월평균 46만7000원으로 전년 대비 11.9%(-6만3000원)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법정 노동 비용은 월 평균 46만9000원으로, 건강보험 등 보험료율 상승 및 임금 상승 등 영향으로 전년 대비 5.4%(2만4000원) 증가했고, 법정외 복지비용 또한 전년 대비 9.1%(2만3000원) 증가한 월 평균 27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이 1048만9000원(-6.3%)으로 가장 높았다.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960만4000원, -0.1%)과 제조업(695만8000원, 1.7%) 등이 뒤따랐다. 반면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이 326만2000원(3.7%)으로 가장 낮았다.
300인 미만 기업체의 노동 비용은 300인 이상의 67.5% 수준으로, 전년(63.5%)보다 4.0%p 축소돼 기업 규모 간 격차가 완화됐다.
고용부 관계자는 "퇴직연금 연간 적립액 제도가 바껴 기업에서 퇴직금을 과하게 납부하면서 기저효과로 퇴직급여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300인 이상이 퇴직금 납입 비용이 높은데 퇴직급여 비용이 줄다 보니 전체적인 노동 비용이 감소됐고, 이에 300인 이상과 미만의 노동 비용 격차가 완화되는 모습이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