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인터넷진흥원-통신 3사, 합동 차단방안 마련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최근 투자사기를 목적으로 불법업자가 발신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스팸문자가 급증하면서, 금융당국이 통신업계와 손잡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 금융감독원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이동통신 3사(SKT·KT·LGT)와 함께 투자 스팸 문자 차단 방안을 마련해 이달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금융감독원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이동통신 3사(SKT·KT·LGT)와 함께 투자 스팸 문자 차단 방안을 마련해 이달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불법 개연성이 높은 키워드가 포함된 투자 유인 스팸 문자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구상이다. 실제 올해 상반기까지 투자 유인 불법 스팸신고 건수는 6067만건에 달하는데 이는 지난해 하반기 673만건 대비 약 8배 급증한 수치다. 이에 투자 사기 피해를 예방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평가다.

이를 위해 당국은 △KISA 블랙리스트를 통한 대량 스팸문자 발송 차단 △통신3사를 통한 수신차단 △불법투자스팸에 대한 경고문자 발송 등으로 스팸문자를 이용한 투자사기 3중 예방책을 마련했다.

우선 KISA의 스팸 전화번호 블랙리스트 제도 적용 범위는 투자 유인 스팸 문자로 확대 적용한다. 이에 금감원과 KISA는 투자 유인 스팸 문자 약 2만여개를 분석해 블랙리스트에 활용할 불법 금융투자 키워드를 선정했다.

이동통신사들은 '필터링 서비스'에 투자 관련 필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이동통신사들은 각 회사의 고유 분석 로직 및 차단 시스템을 통해 스팸을 걸러내고 있다. 향후 통신사들은 금감원과 KISA가 분석한 키워드를 추가 반영하기로 했다. 통신사 수신 필터링 서비스는 해외에서 발송하는 스팸 문자도 걸러낼 수 있다.

금감원 측은 이번 방안으로 스팸문자로 인한 투자사기 피해 예방에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지난 10월 파일럿 테스트를 단행한 결과, 투자 유인 유형 스팸문자가 약 20% 추가 차단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감독원·KISA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불법금융투자 유인 키워드를 지속 수정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며 "새 방안 안착 이후 불법대부업자의 스팸 문자 등 민생금융범죄 전반으로 적용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