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전국 광역시 중 화학사고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울산광역시 화학사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민관 합동 화학사고 공동방재지원체계가 구축된다.
|
 |
|
▲ /사진=화학물질안전원 |
화학물질안전원은 민관 합동으로 오는 4일 울산콤플렉스에서 울산 산단 내 화학사고 공동방재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낙동강유역환경청과 울산 화학사고 민관공동대응협의회 대표사(SK에너지), 울산 환경기술인협회,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협의회 등이 참여한다.
울산은 지난 9년(2015~2023년)간 78건의 화학 사고가 발생해 전국 광역시 중 화학사고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번 협약을 통해 협약 기관은 유‧누출된 화학물질을 폐기 및 회수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예방하고 공동방재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울산 산단에서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인력과 장비, 방재차량, 방재물품 등을 신속(취약시간 포함)하게 사고 현장으로 동원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한다. 필요 시 양산 등 울산 지역 외에서 화학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지원한다.
또한 평상 시 협약 기관은 화학사고와 테러를 대비하기 위해 합동훈련 계획을 공동 수립하고, 주기적인 훈련을 통해 비상 대응에 대한 능력을 키울 예정이다.
박봉균 원장은 "화학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여러 기관 방재 물자가 필요한데, 이번 협약을 통해 공동 방재 물자가 신속하게 투입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화학사고가 다수 발생하는 화학산단을 중심으로 민관 공동방재지원체계를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