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부산의 명산인 금정산 일대를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한 절차가 추진된다.
|
 |
|
▲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용도지구계획(안)도./사진=환경부 |
환경부는 오는 11일 부산광역시청에서 부산·경남 양산 소재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부산 지역 주민설명회와 공청회를 연다고 10일 밝혔다.
환경부는 이 자리에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안)과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이어 최송현 부산대학교 교수 주재로 지역전문가와 주민대표 등이 참여한 가운데 발표 및 토의를 진행하고, 방청객 의견 청취 시간도 갖는다.
부산시는 지난 2019년 6월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했다. 환경부는 이듬해 3월부터 2021년 9월까지 금정산과 백양산 및 낙동정맥 생태축을 중심으로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을 조사했고, 사찰과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했다.
타당성 조사 결과, 금정산에는 멸종위기종 13종을 포함해 야생생물 1782종이 서식하며 기암과 습지 등 자연경관자원 60곳이 있었다.
국가지정문화유산과 지방지정문화유산 등 문화자원 105점도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문화자원은 기존 23개 국립공원과 비교해 북한산국립공원(115점)에 이은 2번째로 많았다. 특히 자연·경관·문화자원 전체를 고려했을 때 보전가치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 등 80여 개의 크고 작은 단체가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금정산 소재 부산·경남지역 대표사찰 범어사도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에 동의하는 등 지역 국립공원 지정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확고한 의지도 지정 절차를 착수하는 데 중요하게 고려됐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환경부는 타당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안)과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을 마련했다. 부산시는 지난달 25일부터 지형도면과 지적도 등 공원계획 관련 내용 공람(열람)을 시작했다.
해당 내용은 이달 31일까지 부산시와 관할 기초지자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대상지역 주민 등은 공람(열람)장소에 방문하거나 우편, 이메일로 서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부산·경남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수도권 북한산과 대전·충남 계룡산, 광주·전남 무등산, 대구·경북 팔공산에 이어 우리나라 주요 광역도시권은 모두 국립공원을 보유하게 된다"며 "부산시민과 경남도민이 원하는 국립공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앞으로 지자체와 지역주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 양산지역 전력환경영향평가 설명회는 12월 19일 오후 2시 양산시 쌍벽루 아트홀에서 열린다. 공청회는 경남도·양산시와 추후 협의를 거쳐 공고될 예정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