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생활화학제품 원료 안전성 정보를 소비자가 알기 쉽도록 나뭇잎 개수로 표시하는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
 |
|
▲ 표시 예시./사진=환경부 |
환경부는 생활화학제품 76개의 제품 내 원료 안전성 정보를 나뭇잎 개수로 표시해 오는 12일 생활환경안전정보시스템 초록누리에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나뭇잎 4개는 '유해 우려 없음', 3개 '유해 우려 낮음', 2개 '용도·제형에 따라 사용 가능', 1개 '안전한 원료로 대체 권장' 등 4개 등급으로 나뉜다.
이번에 제품 내 원료 안전성 정보를 공개하는 제품은 지난 3월 생활화학제품 자율 안전정보 공개 추진방안 마련 후 시범사업 참여기업 모집과 제품 내 원료 정보 확인 등 기업 상담, 제품 원료별 등급 표시 결정 등 과정을 거쳐 선정됐다.
메디앙스와 불스원, 라이온코리아, 엘지생활건강 등 15개 기업은 자율적으로 참여해 세정제 등 11개 품목 76개 개별 제품의 원료 성분별 안전성 정보를 공개한다.
자율 안전정보 공개 참여 76개 제품은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안전기준을 준수한 신고증명서 발급 완료 제품이다. 이들 제품 원료 성분 중 안전한 원료로 대체 권장(나뭇잎 1개) 등급을 받은 원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76개 제품에 사용된 원료 안전성 등급 구성은 ▲나뭇잎 4개 14.7%(90종) ▲나뭇잎 3개 55.8%(342종) ▲나뭇잎 2개 19.4%(119종) ▲등급부여 예정 10.1%(62종)다.
이번 공개는 기업이 '더 안전한 원료로 대체, 더 많은 정보 공개' 등 소비자 안전을 위한 노력 일환으로 참여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중 차세대 화학제품관리시스템이 구축되면 소비자가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추가 정보(사용상 주의사항 등)도 함께 제공될 예정이다.
박연재 환경보건국장은 "화학제품 자율 안전정보 공개를 통해 소비자는 안전성 정보를 쉽게 인지하고, 기업은 제품 원료 정보 제공으로 소비자 신뢰를 강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더욱 많은 제품의 원료 정보가 알기 쉽게 제공될 수 있도록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