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환경부는 12일 김완섭 장관이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유등천과 대전천 하천 정비사업 현장을 찾아 사업 현황과 향후 계획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
 |
|
▲ 환경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대전시는 갑천과 유등천, 대전천 등 국가하천 3개가 도심을 관통하는 지역이다. 집중호우로 하천이 범람할 경우 큰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올해 7월 장마 기간 중에도 일부 지역에서 하천 제방이 유실되고 급격히 불어난 물이 제방을 넘어가면서 대전 서구 용촌동 한 마을이 침수되는 등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대전시는 시 예산 171억 원을 투입해 내년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 전까지 주요 하천에 대한 준설을 완료해 홍수 피해를 예방하다는 계획이다.
이날 현장에서는 하천 정비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하천 정비사업의 경우 하천기본계획 수립과 실시설계 등 선행 절차로 인해 공사 시작 전까지 5~7년이 소요된다. 이에 당장 홍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견돼 시급하게 제방 사면 보강이나 준설 등 조치가 필요한 경우, 신속한 조치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효과적인 하천 정비를 위해서는 지역 여건과 특성을 잘 알고 있는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하천 현장을 점검하고, 현장 여건에 맞는 정비사업을 제안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완섭 장관은 "홍수 피해 예방을 위한 대전시의 선제적인 노력에 감사하다"며 "환경부는 시급한 정비사업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천정비 제도를 개선하고, 하천정비 사업에 대한 지자체 자율성과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