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진현우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지 하루가 지난 15일 "대한민국 정상화가 시급하다"며 "국회·정부가 함께하는 국정 정상화를 위한 초당적 협력체 '국정안정협의체' 구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와 정부가 대한민국 전반에 불어닥친 위기를 조속히 매듭지을 수 있게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연말 특수는 사라졌고, 국민의 일상은 멈췄다"며 "불확실성으로 증폭된 금융시장의 위험은 현재진행형"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외교 공백으로 국제사회의 신뢰도는 떨어졌다"며 "내란 동원으로 국방과 안보는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고 부연했다.
이 대표는 국민의힘을 향해서도 "국회 구성원으로서 국정안정, 민생협업이라고 하는 큰 공통의 목표에 협조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며 "(협의체에) 협조하지 않는다면 정당으로서 존재 이유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
 |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2월 1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12.15./사진=연합뉴스 |
그러면서 "대통령 직무가 정지돼서 이제 국회가 국민이 위임한 책임을 실질적으로 다해야 할 때가 됐고 당연히 국회가 전면에서 대한민국의 국정을 조정해 나가야 하는 상황"이라며 "작은 이익을 따지다가 역사의 큰 물결에 쓸려가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당 차원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탄핵 소추 절차는 밟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 대표는 "당내에 한 권한대행에 대해 이번 내란 사태의 책임을 물어 탄핵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이미 한 총리가 권한대행으로 확정이 됐고 너무 많은 탄핵을 하면 국정에 혼선을 초래할 수 있겠다는 판단 때문에 일단은 탄핵 절차를 밟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전날 한 권한대행과 통화를 나눈 사실을 공개했다. 그는 "(한 권한대행에게) 이제는 여당이 중심이 아니라 여야를 가리지 말고 정파를 떠나 중립적으로 정부의 입장에서 국정을 해나가야 한다고 했다"며 "한 권한대행도 흔쾌히 동의했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소극적 대응'을 한 일부 군 장병에 대해서는 포상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냈다.
이 대표는 "이번 내란에 가담하라는 명령을 받고도 예를 들면 출동을 지연하거나 진압에 대해 태업을 한 것은 항명으로 보이지만 궁극적으로 공직자의 책임을 다한 것"이라며 "실질적 책임이 있는 고위급 지휘관을 제외하고 적극 가담하지 않은 대부분의 하급 지휘관과 병사에 대해서는 책임을 물을 것이 아니라 기여 정도에 따라 포상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대표는 공직선거법 위반 재판 2심에서 1심과 동일하게 '피선거권 박탈형'이 나오더라도 차기 대선에 출마할 것인지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기소 자체가 매우 정치적이고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은 많은 사람이 안다"며 "법과 상식에 따라서 합리적 결론이 내려질 것이고 정치 일정도 진행될 것이다. 나 역시도 그 절차와 과정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미디어펜=진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