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전문가·은행권, 효과적 내부통제안 등 소개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금융감독원은 16일 오후 본원 2층 대강당에서 은행지주(8개사)·은행(20개사) 대상 내부통제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금융감독원은 16일 오후 본원 2층 대강당에서 은행지주(8개사)·은행(20개사) 대상 내부통제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내부통제 워크숍은 금융사고 대응 및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매반기별로 개최하고 있다. 이날 워크숍에는 은행권 내부통제 담당자 170여명이 대거 자리했다. 

금감원 은행담당 부원장보는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은행 내부통제가 안정적으로 작동돼 은행 본연의 기능이 차질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세심한 업무점검을 해야 한다"며 "은행업무의 디지털화 등에 맞춰 내부통제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담당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원과 근본적으로는 준법의식과 책임 중심의 조직문화를 정착시켜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감독당국과 은행권이 중대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마련했던 내부통제 개선대책이 현장에 잘 안착돼 실효적으로 작동됨으로써 2025년이 은행권 신뢰회복의 원년(元年)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박현출 PwC컨설팅 파트너는 "책무구조도 시행에 따라 책무별 관리조치 수행과 관련된 내부통제 활동 성과를 집적할 필요성이 증대됐다"며 레그테크(RegTech)를 활용한 법령준수 점검, 머신러닝을 활용한 여신 심사 서류 정합성 검증 등 신기술에 기반한 내부통제 방안을 소개했다.

은행검사1국은 은행권과 공동으로 운영 중인 '여신 프로세스 개선 TF' 운영으로 마련한 여신 프로세스 개선방안의 세부내용과 내부통제상 유의사항을 발표했다. 이는 최근 여신사고가 대형화되고 내부직원이 부당여신을 주도·공모하는 사고사례가 많아진 까닭이다

은행검사2국은 최근 실시한 '금융사고 보고체계 및 사고금액 환수절차' 점검 결과를 토대로 횡령·부당대출 등 중대 금융사고 발생시 신속·효과적인 사고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 개선사항을 공유했다. 그러면서 은행권에 사고피해 확산 방지 및 사고금액 조기 환수 등을 위해 당국과 긴밀하게 소통해 줄 것을 거듭 강조했다.

은행검사3국은 은행권의 주요 금융사고 사례 및 특징과 사고은행의 대응사례를 공유하면서 은행권의 선제적이고 효과적인 내부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감독총괄국은 최근 은행(9사)·지주(9사) 책무구조도에 대한 컨설팅을 토대로 △임원 간 책무의 중복 △지정책임자 책무의 일부 누락 발생 등 주요 미비 사례를 공유했다. 또 책무구조도 마련·관리 등과 관련된 법령위반을 방지하기 위해 제도 취지, 가이드라인 등을 숙지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은행권에서는 KB국민·하나은행이 내부통제 운영사례를 은행권과 공유했다. 국민은행은 인공지능(AI) 분석을 통해 이상거래 및 금융사고를 사전 탐지하는 상시감사 모니터링시스템 운영 현황을 발표했다. 하나은행은 명령휴가 실시현황을 KPI에 반영하는 등 명령휴가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을 공유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날 워크숍은 금융감독원과 은행권이 내부통제 주요 현안에 대해 소통하고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전문가 특강 및 모범사례 공유를 통해 내부통제 제도 관련 이해의 폭을 넓히고, 기존 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