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체 참여 기관 1대1 전략 회의·맞춤형 지원방안 수립 등 지원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녹색산업 수주·수출 20조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정국을 맞이한 상황에서도 윤 정부 국정과제인 '녹색산업 수출 100조 원 달성'은 지속 추진하겠다고 못을 박았다.

   
▲ 환경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17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녹색산업 수주·수출 실적은 22조7000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거둔 실적 20조4966억 원보다 약 2조2000억 원 상승한 규모다. 주요 수주 및 투자사업 성과는 19개 사업에서 16조4937억 원, 녹색제품 수출은 602개 기업에서 6조1693억 원이다.
 
이 중 규모가 가장 큰 단일사업은 오만 그린수소 생산사업으로, 8조8000억 원에 달한다.  

앞서 환경부는 국내 녹색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1월 산업계 등과 함께 민관 녹색산업 협의체(얼라이언스)를 꾸렸다. 올해 환경부는 협의체에 참여하는 73개 기관과 1대1 전략회의를 수시로 열고 사업별 애로사항을 파악했다. 또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수립해 상대국 정부와 발주처에 제공하는 등 녹색산업 수주·수출 확대를 위해 전방위적인 지원을 제공했다. 

아울러 기업 수주·수출을 지원하고자 16개국 현지에 녹색산업 수주지원단을 26회 파견해 사업발굴과 협상, 수주 및 사후관리 녹색 해외사업 전 과정을 산업계와 함께 추진했다.

환경부는 탄핵정국에도 녹색산업 수출 등 관련 지원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여러 우발적인 상황에 대한 계획을 이미 수립하고 있었기 때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며 "해외 수주·수출과 정부 측 지원 및 정책도 계속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관련 기관 및 업계와 논의 후 내년도 목표 등을 설정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는 이날 서울 강남구 소재 임피리얼팰리스에서 녹색산업 협의체(73개 기관) 기업과 함께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하는 정부 및 산업계 관계자들은 그간 성과를 공유하고, 수주지원단 지속 파견과 전략회의 수시 개최, 재정지원 확대 등 내년도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협의체 참여 기업은 현재 추진 중인 해외사업 사례를 발표했다. 또한 사업성 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과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예산 확대, 복잡한 인허가 협의 지원, 사업 종료 후 지속적인 정부의 관심 등을 건의했다. 

안세창 기후탄소정책실장은 "국내기업의 녹색산업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미 세계 녹색산업 시장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면서 "세계 녹색시장에서 지속적인 수주·수출이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재정적, 외교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