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석명 기자] LG 트윈스가 샐러리캡이라 할 수 있는 '경쟁균형세 상한액'을 KBO 리그에서 처음 초과한 구단이 됐다.
KBO(한국야구위원회)는 18일 2024년 구단별 연봉 상위 40명의 합계 금액을 발표했다.
KBO는 리그 전력 상향 평준화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2023년부터 경쟁균형세 제도를 도입했다. 2021 ~2022년 구단별 연봉 상위 40명(외국인선수와 신인선수를 제외한 각 구단의 소속 선수 중 연봉, 옵션 실지급액, FA 연평균 계약금 안분액)의 금액을 합산한 구단의 연평균 금액의 120%인 114억 2638만원이 경쟁균형세 상한액으로 정해져 올 시즌 적용했다.
|
|
|
▲ 2023시즌 통합우승을 차지한 LG가 올해 샐러리캡을 넘겨 야구발전 기금 약 12억원을 납부하게 됐다. /사진=LG 트윈스 SNS |
금액 집계 결과 LG는 연봉 상위 40명의 합계 금액이 138억 5616만원으로 경쟁균형세 상한액 대비 24억 2978만원 초과됐다. 이에 초과된 액수의 50%인 12억 1489만원을 야구발전기금으로 납부한다.
LG 외에는 상한액을 초과한 구단이 없다.
총액 2위 KIA 타이거즈가 112억 4900만원으로 상한액에 근접했지만 넘지는 않았다. 이어 두산 베어스가 111억 9436만원, 삼성 라이온즈 111억 8100만원, 롯데 자이언츠 111억 5018만원, 한화 이글스 107억 1046만원, KT 위즈 105억 1641만원, SSG 랜더스 104억 5700만원, NC가 94억 7275만원이었다. 최저액은 키움 히어로즈로 56억 7876만원을 연봉으로 지급해 최고를 기록한 LG와는 약 82억원이나 차이가 났다.
LG가 상한액을 넘은 이유는 기본적으로 고액 연봉 선수들이 많은데다 강 팀을 만들기 위해 최근 수 년간 비싼 몸값의 선수들을 많이 영입했기 때문이다. 좋은 선수들이 많이 모이다 보니 LG는 지난해 통합우승을 차지하며 29년 만에 한국시리즈 정상에 올랐다. 우승을 함으로써 선수들의 올해 연봉 인상 폭도 클 수밖에 없었다.
LG는 내년에도 샐러리캡을 초과할 수는 없다는 방침 아래 '연봉 다이어트'를 추진하고 있다.
|
|
|
▲ 표=KBO |
경쟁균형세 상한액을 초과하는 경우, 1회 초과 시 초과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야구발전기금으로 납부해야 한다. 2회 연속 초과 시에는 초과분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야구 발전기금으로 납부해야 하며 다음 연도 1라운드 지명권이 9단계 하락한다. 3회 연속 초과 시에는 초과분의 1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야구 발전기금으로 납부해야 하고 다음 연도 1라운드 지명권이 9단계 하락한다.
한편, 2025년 상한액은 상향 조정된다. 물가 인상, 선수계약 규모 확대 등을 고려해 지난 8월 KBO 이사회에서 2025년 상한액을 114억 2638만원에서 20% 증액해 137억 1165만원으로 올리기로 결정했다.
[미디어펜=석명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