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8일 “우리 외교안보에 한치의 공백이 없도록 할 것”이라면서 “북핵 문제에 대해서도 미국의 신행정부 출범 이전에 우리의 대응 구상과 로드맵을 마련해 북미 협상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오전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외교부·기재부 장관 합동 외신 간담회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그레넬 전 주독일대사를 북한 문제 특별임무 담당 특사로 임명한 것은 트럼프 당선인이 북한 문제 특히 북핵 문제를 우선순위 과제에서 빼놓지 않았다는 점을 입증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 장관은 “그동안 정부는 북한과 협상을 거부한게 아니다. 북한이 대화와 협상을 거부해서 단절됐다”며 “앞으로 핵협상 기회가 열리면 우리는 그 모든 것에 열려 있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조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측과 연락을 취하고 있는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이번 계엄 사태로 인해 지난 2주 정도 소통에 지장이 있었던 것은 맞다. 소통의 정치적 동력을 악화시킨 측면이 있다”며 “소통의 직접 당사자인 대통령이 직무정지 된 상태여서 일정한 제약이 있지만 단시일 내 동력을 회복하기 위해 정부가 전력투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망’을 묻는 질문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당선인이 선거 기간 중 조기 종전을 공언한 바 있지만, 어떤 구체적인 외교적 이니셔티브를 갖고 이 문제를 다룰지 불투명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우크라이나전쟁은 굉장히 복합적인 양상을 띠고 있고, 이미 2~3년간 전개돼왔다. 트럼프 당선인의 의지가 강하다고 하더라도 종전을 이루기엔 상당히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
|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합동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공동취재] 2024.12.18./사진=연합뉴스
|
조 장관은 ‘한일관계 및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사업’과 관련해선 “이번 사태가 60주년 행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준비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문제는 우리 국내 상황을 일본이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여서 주춤할까봐 우리가 걱정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념사업이 한일 관계에서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일본이 적극적으로 다루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조 장관은 ‘내년 경주 APEC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한중 정상회담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지금까지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불참한 선례가 하나도 없는 것으로 안다. 그래서 시 주석이 경주에 오실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중국 외교당국과도 그런 대화를 나누고 있다. 그 대화 기조에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아울러 “최근 중국정부가 취한 무비자 면제 조치를 환영한다. 그것은 지난 봄부터 지속되어온 양국 정부의 고위급 전략적 소통을 비롯한 관계 개선 조치의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것이다. 한중관계는 이번 사태와 상관없이 계속 꾸준히 협력 관계로 지속 발전해나갈 것이라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조 장관은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 12월 3일 밤에 있었던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은 물론 전세계에도 큰 충격을 줬으리라 생각한다”면서 “2024년의 대한민국에서 45년만에 계엄이 되풀이되리라고는 상상 못했기에 개인적으로도 충격이 컸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성숙한 민주주의라고 찬사받던 대한민국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 국제사회를 매우 놀라게 한 것은 사실이지만 동시에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회복력이 입증됐다는 점에서 이번 사태는 양면성을 지닌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