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금융·고용·복지를 연계하는 정부의 '복합지원 서비스' 이용자가 올해 약 7만2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은 유관기관 복합지원 4대 개선방안을 마련해 더 많은 취약계층이 더 두터운 복합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18일 오후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관계기관과 함께 개최한 복합지원 추진단 제3차 회의를 통해 지난 1년 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고도화 방안을 발표했다./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원회는 김병환 위원장 주재로 18일 서울 중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복합지원 추진단 제3차 회의'를 열고 복합지원 서비스 1주년 성과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1월부터 각 부처·기관에 산재돼 있는 금융·고용·복지 지원정책을 수요자 입장에서 재편·연계해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올해 1~11월 복합지원 서비스 이용자는 7만1934명으로 전년 대비 44.5%(2만5616명) 증가했다.

연계대상자의 특징을 살펴보면 금융·고용 연계자 중 무직·비정규직은 79.3%, 연소득 2500만원 이하는 83.2%였다. 금융·복지 연계자 중에서는 무직·비정규직이 65.4%, 연소득 2500만원 이하가 77.3%로 집계돼 고용·소득 취약계층에게 보다 집중적인 지원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만족도와 관련해서는 이용자의 81.2%가 만족을 표했으며 91.0%는 재이용 의사를 표시했다.

김 위원장은 "복합지원의 핵심은 흩어져 있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자가 어느 기관을 방문하더라도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대국민 접점 및 연계 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복합지원 정책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선 공공기관을 통해서만 이용할 수 있던 복합지원을 민간 금융회사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은행권은 물론 복합지원 주요 대상자인 서민·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저축은행·여신금융전문회사·대출비교플랫폼도 복합지원 서비스에 참여한다.

복합지원 분야도 확대된다. 고용 분야에서는 근로복지공단의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사업(금리1%, 최대 1000만원)이 추가 연계되며, 주거 분야에서는 서민금융센터-한국주택금융공사 간 전산 연계 시스템이 구축돼 서민금융 성실 상환자 등이 특례전세자금보증을 받고자 할 때 증빙자료를 스스로 수기 제출해야 하는 불편이 사라진다.

또 내년말부터는 공공마이데이터를 통해 파악한 고객의 다양한 정보를 복합지원 상담에 활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상담 및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현장에서 원활한 상담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서민금융진흥원·신용회복위원회의 상담 인력도 증원된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