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승규 기자] 미국 배터리 소재 수입 시장에서 한국이 1위 자리를 수성했다.
22일 한국무역협회가 분석한 유엔 무역통계(UN Comtrade)에 따르면 미국의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수입액은 2020년 50억2100만 달러에서 2023년 96억9800만 달러로 93.1% 성장했다.
|
 |
|
▲ LG에너지솔루션 미국 애리조나공장 조감도./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
미국의 배터리 소재 수입이 증가한 가운데, 한국 비중이 급격히 상승했다. 2020년까지 미국 배터리 소재 수입 비중은 중국이 28.9%로 1위였다. △일본 17.2% △독일 10.1% △캐나다9.1%가 뒤를 이었다. 당시 한국의 비중은 8.5%였다.
지난해에는 한국과 일본의 점유율이 각각 33.7%, 26.4%까지 성장했다. 반면 중국의 비중은 8.4%까지 감소했다. 해당 기간 한국의 양극재 수출액은 29억3000만 달러다. 이는 한국의 대미 3대 배터리 소재 총 수출액인 32억6800만 달러의 90%에 가까운 비중이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 3사가 이같은 점유율 상승을 견인했다. 3사는 미국에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지으면서 한국에서 원료로 가져다 쓰는 양극제, 음극제, 분리막 등 소재의 양이 늘어난 상황이 무역 통계에 반영됐다.
한편 국내 배터리 산업은 트럼프 당선인 인수팀이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로이터는 인수팀 내부 문건을 인용해 "세계 모든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고, 이후 동맹국들과는 개별적인 협상을 통해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권고하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미디어펜=이승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