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승규 기자] '서이초 사건' 이후로 교권 침해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대책이 마련 됐지만 아직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
 |
|
▲ 서이초 사건 이후 교권 침해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대책이 마련됐지만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해 9월 서울 여의도서 서이초등학교 교사의 49재 추모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
충남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달 21일부터 29일까지 지역 유·초·중·고·특수학교 교원 6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교 내 교육활동 및 교권 침해에 대한 교원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52.6%) 현재 재직 중인 학교에서 교육활동 및 교권 침해를 겪었다고 답변했다.
전체 재직 기간에 교육활동 및 교권 침해를 당한 교원의 비율은 80.4%로 집계됐다. 이중 학생에게 당한 경우는 71.1%에 달한다.
교총은 교권 침해 문제가 여전히 산재해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활동 침해 요인으로는 △지도 불응 △의도적 수업·업무 진행 방해와 반복적 부당 간섭 △반복적 부당 간섭 △명예훼손·모욕 순서로 나타났다.
보호자로부터 교육활동 및 교권 침해를 당한 경우는 67.2%였다. 침해 요인은 근무 시간 외 민원제기나 명예훼손 등이다.
특수교사들은 과도한 행정 업무와 학급당 많은 학생 수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남지부가 특수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한 결과 83.1%가 행정 업무로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디어펜=이승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