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3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이 작년보다 증가했지만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 3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이 작년보다 증가했지만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사진=김상문 기자


금융감독원은 '3분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을 30일 발표하면서 3분기 중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이 14조2000억원을 기록, 작년 동기보다 1조원 늘어났다고 밝혔다.

상환액은 15조400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4000억원 증가했고, 이에 따른 9월 말 잔액은 78조3000억원을 기록해 이전 분기 80조5000억원 대비 2조2000억원 줄어들었다.

일단 3분기 ELS 발행액은 9조4000억원을 기록해 작년 동기보다 5.2% 감소했다. 작년 홍콩 ELS 사태 등으로 인해 원금 비보장형 ELS 발행이 위축돼 원금 비보장형 발행액은 4조200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1.7% 급감했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원금 지급형 ELS 발행액은 5조2000억원을 기록해 작년 동기보다 90.4% 급증했다. 

기초자산 유형별로 보면 지수형 ELS 발행액은 5조700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2.6% 줄었고, 비중도 60.4%로 작년 동기 대비 13.5%포인트(p) 감소한 모습이다.

반면 종목형 ELS 발행액은 3조500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63.7% 증가했고 비중도 37.0%로 작년보다 15.6%p 커졌다.

주요 기초자산별 발행액은 코스피200(4조6000억원), S&P500(3조3000억원), 유로스톡스50(3조원), 닛케이225(1조2000억원) 등이다.

한편 3분기 중 발행된 ELS는 일반공모(37.6%), 은행신탁(32.9%), 퇴직연금(12.6%) 순으로 인수됐으며, 이 중에서 은행신탁 액수는 3조1000억원으로 연초 주요 은행들의 ELS 판매 잠정 중단 영향에 따라 전년 동기보다 43.3% 감소했다.

3분기 ELS 전체 상환액은 11조1000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4.1% 줄었고 조기상환 규모는 4조8000억원을 기록해 50.4% 줄었다. 발행 잔액은 48조2000억원으로 6월말보다 4.9% 줄었다고 금감원 측은 전했다.

같은 기간 파생결합증권(DLS) 발행액은 4조800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6.9% 증가했는데, 이는 향후 금리 인하가 예상됨에 따라 고금리 상품을 모색하는 기관 투자자 수요가 늘면서 사모 DLS 발행액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DLS 전체 상환액은 4조3000억원으로 26.0% 늘었고 발행잔액은 30조1000억원으로 6월말보다 1.1% 증가했다.

금감원 측 관계자는 "파생결합사채는 발행인의 신용상태·지급여력에 따라 원금이 보호되지 않을 수 있다"고 투자시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