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향후 'MSCI Korea Index' 등 한국물 지수를 기반으로 한 파생상품이 해외거래소에 상장돼 거래될 것으로 관측된다.
|
 |
|
▲ 한국거래소는 30일 글로벌 지수사업자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와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러셀과 양해각서(MOU)를 지난 26일 체결했다고 밝혔다./사진=김상문 기자 |
한국거래소는 30일 글로벌 지수사업자인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와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러셀과 양해각서(MOU)를 지난 26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그간 한국거래소는 해외 지수사업자가 산출하는 한국물 지수 기반 파생상품이 해외거래소에 상장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았는데, 이는 국내 파생상품시장의 유동성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한국물 지수는 시가총액의 80% 이상이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으로 구성된 지수로, 해외 지수사업자가 산출하는 한국물 지수의 대표격으로 'MSCI Korea Index', 'FTSE Korea Index' 등이 존재한다.
한국거래소는 내년 6월 파생상품시장 야간시장 개설로 국내 파생상품시장의 경쟁력이 확보됨에 따라 이 같은 제도 개편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국물 지수를 기반으로 한 파생상품이 해외거래소에 상장될 경우 글로벌 투자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한국 시장에 대한 위험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해외에서 한국물 지수를 파생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돼 다양한 연계 상품이 출시되고, 국내 증시에도 유동성이 유입될 것으로 관측된다.
외인 투자자들의 한국 시장 투자 접근성에 높아지면 한국 시장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해외 지수사의 긍정적인 평가 등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한편 한국거래소는 이번 제도 개편이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업무를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 3월 MSCI, FTSE러셀과 파생상품 상장에 사용될 기초지수, 상품이 상장될 해외거래소 선정 등 세부 조건을 포함한 정식 계약을 체결한다.
아울러 내년 하반기 중에는 국내 파생상품시장의 주간 거래 시간과 중첩되지 않는 해외거래소에 상품을 우선 상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2026년 중 거래 지역과 시간 등 추가 개방 시기를 검토할 계획이다.
한국거래소 측 관계자는 "한국 자본시장의 선진화 및 국내 파생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며 "한국 시장 접근성 제고를 위한 거래소의 노력을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홍보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