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및 가구, 위스키, 사료 등 품목 목록 준비…에너지 제품 세금 부과도 고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25% 관세 인상에 대해 캐나다가 대응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

   
▲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사진=연합뉴스


10일(현지시간) CNN은 캐나다가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캐나다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경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도 보복 관세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캐나나는 보복 관세를 적용한 미국산 수입품 목록을 준비하고 있다. 목록에는 철강과 가구, 오렌지 주스, 위스키, 사료 등의 품목이 포함됐다.

또한 캐나다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에너지 제품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고 있다. 캐나다가 미국에 대한 정책을 검토하는 이유는 트럼프 당선인이 말한 관세 정책 때문이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11월 마약과 범죄자들이 캐나다, 멕시코를 통해 미국에 유입되고 있다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시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캐나다의 지난 2023년 미국 수출액은 5927억 캐나다달러(약 605조 원)로 전체 수출액의 4분의 3을 차지한다.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면 경제적으로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 정부는 우선 트럼프 당선인의 요구대로 국경 경비를 강화하고 마약 단속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플로리다주의 트럼프 당선인 자택을 방문해 문제 해결을 시도하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 당선인은 "요구사항 이행이 불가능하면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하라"고 말하며 외교적인 문제로 불거졌다.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교부 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을 통해 "트럼프 당선인이 캐나다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결과가 따를 것이고 캐나다도 지렛대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캐나다 정부가 실제로 미국에 대한 보복조치를 통해 무역전쟁까지 끌고 가겠다는 의지가 명확한지는 불명확하다.

캐나다 정부 관계자들은 보복 관세에 대해 결정된 바가 없고 현재 검토되는 보복 관세 부과 대상 목록도 변경 내지는 취소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