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42.2%·국민의힘 40.8%…오차범위 내 격차
중도층 민심변화도 두드러져…"野, 과유불급" 지적
[미디어펜=진현우 기자]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간 지지율 격차가 약 6개월 전 수준으로 돌아가 오차 범위 이내로 좁혀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나왔다. 민주당 측은 공세를 더욱 강화한 모습이지만 내부에선 이같은 여론 추이에 당황한 모습이다. 

내부에서는 민주당 내 잇단 공세가 중도층 민심에 크게 와닿지 않는 만큼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9~10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민주당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42.2%, 국민의힘은 40.8%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 조사인 1월 1주차 여론조사 결과에 비해 6.4%포인트 상승한 반면 민주당의 경우 3.0%포인트 하락했다. 

양당 사이 지지율 격차는 1.4%포인트로 줄어들어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이내 수준까지 좁혀졌다. 1차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부결 직후인 지난해 12월 2주차(12월 12~13일) 조사에서 민주당 52.4%, 국민의힘 25.7%로 양당 간 지지도 격차가 26.7%포인트까지 벌어졌던 것에 비해선 1개월 만에 격차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2025.1.13./사진=연합뉴스

특히 주목되는 지점은 중도층의 민심 변화이다. 1월 2주차 조사에서 자신이 중도층이라고 밝힌 응답자 중 민주당을 지지한다는 비율은 45.0%, 국민의힘 지지율은 34.5%로 나타났다. 오차범위 밖에서 아직 민주당이 우세한 패턴을 보였다. 

하지만 1차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부결 직후 여론에 반영된 지난해 12월 2주차 조사에서는 중도층 응답자 중 51.0%가 민주당을, 16.3%가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중도층 사이에서의 양당 지지율 격차가 1개월 만에 24.2%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상기한 여론조사는 무선(97%)·유선(3%) 혼합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5.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참조할 수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미디어펜과의 통화에서 "민주당 내부에서 마음이 급하니까 진지한 고민을 못하는 정책들이 잇달아 나오고 있고 이런 부분이 중도층 지지율이 빠지게 된 원인으로 볼 수 있다"며 "과유불급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민주당이 스스로 자충수를 만들 수 있는 길로 간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 주말부터 이어지고 있는 민주당발 '카톡 계엄령' 논란을 두고 민주당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전용기 민주당 의원은 지난 10일 "온라인 커뮤니티나 카톡을 통해서 가짜뉴스를 퍼 나르는 것은 충분히 내란 선전으로 처벌받는다"며 "단순히 일반인이어도 단호하게 내란 선동이나 가짜뉴스로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당 비상대책회의에서 "계엄에 대해 자신들과 다른 의견을 얘기하면 카카오톡 메시지와 커뮤니티 게시글까지도 고발하겠단 것인가"라며 "자기들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내란 선전범으로 모는 발상 자체가 공산당식 대국민 겁박"이라고 맞받아쳤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국회에서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나고 있다. 2025.1.13./사진=미디어펜

민주당 역시 즉각 반박에 나섰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힘을 겨냥해 "뻔뻔스럽게 가짜뉴스를 유포하고 그 속에서 이익을 얻으면서도, 가짜뉴스에 문제를 제기하니까 마치 그게 무슨 문제라도 있는 것처럼 반격하고 있다"고 역공에 나섰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회의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 대통령 측과 국민의힘이 온갖 가짜뉴스를 만들어내고 이를 보수 유튜버들과 일부 보수언론이 확대 재생산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강력히 대처하기로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카톡 계엄령 논란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홍익표 전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KBS라디오 '전격시사' 프로그램에 출연해 "모든 문제를 고발이나 고소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며 "지금 당장의 논란을 잡기에도 쉽지 않은 현상이기 때문에 (고소·고발의) 실효성 자체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민주당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미디어펜과의 통화에서 "내란 상태의 효과적인 조기 종식을 위해서는 여론을 잘 형성하고 지지도를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가 있다"면서도 "사실상 여야 진영 간 대립으로 부각되는 상황이지만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이 집행되고 탄핵 심판이 본격화한다면 국민의힘의 지지율 상승은 단기적인 효과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진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