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올해 1분기 가계대출 문턱이 지난해 4분기 대비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
 |
|
▲ 한국은행 전경./사진=한국은행 제공. |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은행의 대출태도 종합지수(-1)는 전 분기(-27)보다 26포인트 올라섰다. 한 분기 사이 강화 의견이 크게 줄어 완화 의견과 거의 비슷해졌다는 의미다.
한은은 이 조사를 통해 금융기관 대출태도, 대출수요, 신용위험에 대한 평가를 가중 평균해 100과 -100 사이 지수로 산출한다. 지수가 양(+)이면 ‘완화(대출태도)’ 또는 ‘증가(신용위험·대출수요)’라고 답한 금융기관 수가 ‘강화’ 또는 ‘감소’보다 많은 상태를 말한다. 음(-)이면 반대다.
주체별로 가계 주택대출과 신용대출 등 가계 일반대출에 대한 태도 지수가 각각 6, 3을 기록했다. 작년 4분기 뚜렷한 강화 우위(-42·-39)에서 완화 우위로 돌아섰다. 생활안정자금과 주택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담보대출, 비대면 신용대출 등에서 가계대출 태도 완화가 예상된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대기업(-3)과 중소기업(-3) 역시 여전히 강화 의견이 다소 많지만, 전 분기(-11·-17) 대비 크게 줄었다.
1분기 대출수요 종합지수 전분기 대비 18포인트 높아진 25를 기록했다. 가계 주택대출(6→19)과 일반대출(8→14), 대기업(0→17), 중소기업(8→31)에서도 모두 수요 확대가 예상됐다.
1분기 신용위험 종합지수는 34로, 전 분기(28) 대비 6포인트 높아졌으며, 대기업(11→28), 중소기업(33→39), 가계(22→28) 모두에서 신용위험이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 관계자는 “기업의 신용위험은 업황 부진, 자금 사정 악화로 높은 수준이 이어질 것”이라며 “가계의 신용위험 역시 소득 개선 지연, 채무상환 부담 지속 등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