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지난해 11월 통화량이 32조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변동성 확대에 투자 대기성 자금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 한국은행 전경./사진=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평잔)이 4143조원으로 10월보다 0.8%(32조3000억원) 늘었다. 이는 2023년 6월 이후 18개월째 증가세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이 자산시장 변동성 확대 등의 영향으로 11조4000억원 불었다. 일부 은행들은 대기성 자금 유치를 위해 입출금이 자유로우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파킹통장 상품을 확대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경제 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10조6000억원)와 기업(+5조3000억원), 기타금융기관(+15조000천억원)에서 유동성이 늘어난 반면 기타 부문(-7조5000억원)은 줄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248조9000억원)은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을 중심으로 전월보다 1.2%(15조4000억원) 증가했다.[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