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작년 경기 부진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며 코스닥 시장에서 불성실공시 사례가 50% 이상 늘어났다.
|
 |
|
▲ 작년 경기 부진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며 코스닥 시장에서 불성실공시 사례가 50% 이상 늘어났다./사진=김상문 기자 |
한국거래소는 14일 '2024년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공시실적' 자료를 발표하면서 작년 코스피·코스닥의 불성실공시 건수는 총 147건으로 2023년(110건)보다 37건 늘었다고 밝혔다.
코스피에서는 34건으로 전년 대비 1건 줄었지만 코스닥 시장에서는 113건으로 전년보다 38건 늘어 50.7%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특히 코스닥 시장에서는 공시변경이 32건으로 전년 대비 21건(190.9%) 급증했다.
이밖에 공시번복은 48건, 공시불이행은 33건으로 전년 대비 각각 11건(29.7%), 6건(22.2%) 증가한 모습이다.
한국거래소 측 관계자는 "경영환경 악화가 판매·공급계약 등 기업의 영업활동을 크게 위축시켜 계약물량·금액 등의 축소로 이어져 공시변경이 증가했다"며 "기업이 어려움을 겪으며 목표하는 자금조달을 원활히 진행하지 못해 공시번복도 늘었다"고 분석했다.
코스피·코스닥의 작년 전체 공시 건수는 4만9157건으로 전년(4만3878건) 대비 12% 늘어난 모습이다.
코스피 공시(국문·영문 합산) 건수는 2만5297건으로 전년 대비 17.5% 늘었고, 1사당 평균 공시 건수는 약 29.8건으로 집계됐다. 국문공시 중에서는 공정공시가 1742건으로 가장 많았고, 자율공시(1621건), 조회공시(58건) 등의 순서가 이어졌다.
증감율로 보면 자율공시가 16.5% 늘어 가장 많이 늘었다. 풍문·보도에 대한 기업의 정보제공 의지에 해명공시가 증가하고,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에 따라 관련 계획 공시가 다수 이뤄진 영향이 컸다.
영문공시는 4830건으로 전년(1777건)보다 58.2%나 증가했다. 영문공시가 단계적으로 의무화된 영향으로 제출 법인 수 역시 248사로 전년(175사)보다 41.7% 증가했다고 거래소 측은 전했다.
또한 코스닥 공시 건수는 2만3860건으로 전년(2만2349건) 대비 6.8% 늘어났다. 1사당 평균 공시 건수는 약 13.4건으로 나타났는데 수시공시가 2만851건으로 가장 많았고, 자율공시(1959건), 공정공시(938건), 조회공시(112건) 등의 순서가 이어졌다.
조회공시는 전년 대비 8.7% 증가했는데, 최근 정치 테마주 가격이 급변함에 따라 시황변동 관련 조회공시가 22.4% 증가한 영향이 컸다. 자율공시 중 밸류업 계획 공시는 16건이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