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환경부는 오는 21일부터 어린이 7만 명의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연구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
 |
|
▲ 환경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사업(Ko-CHENS)은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따른 신경인지발달 장애나 알레르기 질환 등 건강영향을 조사·연구해 어린이 환경보건 정책에 활용하는 사업이다. 환경부가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함께 2015년부터 수행 중인 국가 최대 규모 출생코호트 연구사업이다.
연구 대상은 지난 7년(2015년~2021년)동안 동의를 얻은 임신부 출생아 약 7만 명으로, 만 16세까지 추적조사한다. 조사 항목은 어린이 성장단계별 거주 환경 및 생활 습관 등 설문 결과와 분만 기록, 성장·인지발달, 바이오 모니터링 및 실내외 환경오염 등이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비식별화 처리 등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엄격히 관리된다.
환경부는 대규모 환경 노출 및 건강영향 정보 수집과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이 가능했던 이유는 조사에 참여한 임신부와 출생아가 연 1~2회 생체시료 채취, 각종 검사, 대면 또는 비대면 설문조사 등에 오랜 기간 자발적으로 협조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데이터 활용을 원하는 연구자는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 누리집에 회원가입 후 신청 서류를 제출하면 환경과학원 심의를 거쳐 가명 처리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환경부는 이번에 생산자(정부)와 수요자(연구자) 간 데이터 중개 플랫폼이 구축됨에 따라 관련 분야 연구자들이 출생코호트 연구 데이터를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과거 노르웨이 출생 코호트 연구에서 엽산 섭취를 통해 자폐아 출산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근거로 우리나라에서도 산모에게 엽산제를 지급하게 된 사례가 있다.
박연재 환경보건국장은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과학적 연구 결과에 기반한 환경보건 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