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우선 주의 통한 공급망 재편…지난 1기 행정부 당시 정책의 연장선
대외적인 환경 우호적으로 기회론 부상…선제적인 대응과 정부 지원 필수
[미디어펜=박재훈 기자]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도 변화하는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과 동시에 공표했던 대부분의 정책에 속도를 낼 것이라 말했던 만큼, 이를 기회로 삼기 위한 선제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도널드 트럼프 47대 미국 대통령 당선인./사진=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페이스북


20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다가오면서 앞서 트럼프 당선인이 발표했던 △약가인하 △제네릭의약품 확대 △대중국견제 등의 변화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변화는 미국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국내 업계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투자해온 사업들과 중국 견제에 대한 방향성이 반사수혜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국우선주의(아메리카 퍼스트)를 내세우는 트럼프 정부는 이전 정부와 다른 방식으로 미국 내 공급망 강화를 도모한다. 지난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추진했던 정책의 연장선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추진했을 당시에는 시간이 부족했지만 이번에는 취임과 동시에 속도를 내 정책을 안정적으로 자리 잡게 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 트럼프 정부에서 내세울 정책은 바이든 정부와 성격이 극명하게 갈린다. 바이든 정부가 IRA(인플레이션 방지법)을 통해 미국에 진출할 경우 보조금 지원해 투자를 유치하게 하는 방식과 달리 트럼프 정부는 시장경쟁을 통해 미국에서 사업을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채택했다.

이를 통해 치중됐던 의존도를 낮추고 약가 인하를 이루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제네릭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의 중요도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국내 제약업계와 바이오업계에서 집중하던 사업이다. 대외환경이 우호적인 만큼 충분한 경쟁력만 구축된다면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동시에 CDMO(위탁개발생산)사업을 구축하거나 참여하려는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해 최근 새로 법인을 설립한 셀트리온 외에도 유한양행, 한미약품, 대웅제약 등 전통 제약사들도 CDMO사업에 대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CDMO사업에 있어서는 선제적으로 생산시설과 파트너십을 확보할수록 대외환경이 우호적이다. 앞서 생물보안법과 같은 맥락으로 이번 정부에서도 중국 견제라는 과제를 내걸었기 때문이다. 중국 기업들의 입지 축소로 자연스레 미국 파트너사들은 대체원을 찾아야 하는데 국내 기업들에게 기회로 작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 내 투자와 판매법인 네트워크 등의 투자도 필수적인 요소로 꼽힌다. 김혁중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북미유럽팀 부연구위원은 "약가를 낮추기 위한 정책들이 강제성을 띠고 있어 실제 추진 가능성은 미지수지만, 전반적으로 바이오시밀러,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강화돼 해당 분야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연구원은 "기업은 미국 정부나 의회를 상대로 한 대관 기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미국 투자 시 최대한 미국 연방 정부나 주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정부의 지원도 절실하다. 미국 내 투자보다는 미국으로 직접 진출해야 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만큼 생존할 수 있는 R&D(연구개발)와 제품 경쟁력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효영 국립외교원 부교수는 27호 정책보고서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R&D 및 기술 혁신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적극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수출경쟁력을 갖춘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산업육성 지원과 기업들의 활발한 기술혁신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