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서 바이오시밀러 허가 및 판매 성과가 성장 견인
[미디어펜=박재훈 기자]삼성바이오에피스가 지난해 연간 매출 1조5377억 원과 영업이익 4354억 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 삼성바이오에피스 사옥./사진=삼성바이오에피스


이는 국내 의약품 개발사 중 최단 기간 매출 1조원을 달성했던 2023년 연간 실적 대비 매출 51%, 영업이익 112% 증가한 역대 최대 실적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시밀러 허가 및 판매 성과로 높은 성장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올해도 미국 시장 공략을 필두로 제품 판매를 확대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방침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현재 국내에서 9종, 유럽 8종, 미국 4종의 바이오시밀러를 판매하고 있다. 올해는 미국에 신제품 2종을 추가 출시한다.

지난해에는 바이오젠사와 오가논과의 파트너십으로 해외 시장에서 판매 중인 제품 6종(엔브렐∙휴미라∙레미케이드∙허셉틴∙아바스틴∙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의 3분기 누적 시장 매출이 10억9060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또한 지난해 7월 산도스를 통해 유럽에 출시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는 바이오시밀러 시장 내 점유율 1위인 43%를 기록 중이며 2023년 7월부터 유럽에서 직접 판매하고 있는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도 다수의 입찰을 수주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전 제품의 공급을 확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 판매 전문성을 보유한 파트너사와 긴밀히 협력해 적기에 제품을 출시하여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다수의 품목허가 성과를 기록하며 해외 시장 판권을 보유한 파트너사로부터 대규모의 '마일스톤' 수익을 실현했다. 마일스톤은 연구개발 성과에 대한 대가를 말하며 별도 비용이 인식되지 않아 매출과 영업이익의 동반 고도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지난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총 3종(오퓨비즈·피즈치바·에피스클리)을 승인 받으면서 글롭러 수준의 연구 개발 및 인허가 역량을 입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말, 개발본부장을 역임한 김경아 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하며 새로운 리더십 체제를 갖추게 됐다. 김 사장은 삼성그룹 최초의 여성 전문경영인 최고경영자(CEO)로 지난 2015년 삼성바이오에피스에 합류하여 바이오시밀러 개발 전 과정을 거친 바이오 전문가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김경아 사장은 바이오 각 사업 분야 최고 전문가들을 아우를 수 있는 통섭의 리더십을 보유한 리더이며, 새로운 비전 아래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한 층 더 도약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