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상위 0.1% 개인 사업자가 2023년 연 평균 벌어들인 소득은 15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진 곳은 서울로 그 소득 격차는 154배에 달했다.
|
 |
|
▲ 상위 0.1% 개인 사업자가 2023년 연 평균 벌어들인 소득은 15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김상문 기자 |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개인 사업소득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23년 귀속 사업소득 신고자는 전국에서 772만1416명이며, 이들의 평균 사업소득은 1859만원으로 집계됐다.
사업소득이 많은 순으로 한 줄로 세웠을 때 가운데에 해당하는 중위소득은 637만원이다.
지역별로 평균 사업소득은 대구가 2483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2196만원), 서울(2083만원), 울산(2002만원) 순이다. 반면 인천(1563만원), 경기(1633만원), 충남(1706만원), 강원(1752만원) 순으로 낮았다.
비수도권 평균 사업소득은 1960만원으로, 수도권(1786만원)보다 174만원 많았다.
상위 0.1%의 사업소득 신고자는 평균 15억6322만원이었다.
초고소득 사업자는 서울에 집중됐다. 서울이 25억3611만원으로 1위로,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20억원대로 집계됐다. 대구와 부산이 각각 16억9132만원, 16억336만원으로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반면 인천(10억2870만원), 경북(10억5020만원), 충북(10억6867만원), 강원(10억8223만원) 등 순으로 낮았다.
상위 20%와 하위 20%의 사업소득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진 곳은 서울이었다. 서울의 사업소득 상위 20%는 평균 8341만원을 신고했다. 하위 20%(54만원)의 154.4배에 달한다.
세종(141.3배), 대구(109.5배), 대전(106.5배), 광주(104.7배) 등이다.
소득 격차가 가장 작은 곳은 경북(73.0배)이었다. 전남(73.3배), 인천(75.8배), 충남(76.5배) 등 순으로 격차가 작았다.
전국 기준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 차이는 99.9배였다.
박성훈 의원은 "소득과 부의 양극화는 국민 통합에 장애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갈등과 불안을 증폭시킨다"며 "계층 이동 사다리가 작동할 수 있는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