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최인혁 기자]작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3만6000달러대로 추산됐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추정치인 △일본 3만2859달러 △대만 3만3234달러보다 높다. 올해는 정부 전망대로 경제가 확장된다면 1인당 GDP는 3만7000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2일 기획재정부·한국은행·통계청 등에 따르면 2024년 1인당 GDP는 전년보다 454달러(1.28%) 늘어난 3만6024달러로 추계됐다. 지난해 10월 IMF가 추정한 2024년 1인당 GDP도 3만6132달러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국 1인당 GDP는 2016년 3만839달러로 3만달러를 넘어섰고, 2018년 3만5359달러까지 올랐다. 하지만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2020년 3만3503달러까지 떨어졌다.
|
 |
|
▲ 2일 기획재정부·한국은행·통계청 등에 따르면 2024년 1인당 GDP는 전년보다 454달러(1.28%) 늘어난 3만6024달러로 추계됐다.(자료사진)/사진=국민은행 제공
|
2021년엔 정부의 각종 소비지원 등 경기 부양책과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 조치,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3만7503달러를 찍었다가, 2022년 3만4810달러로 내려갔다. 이후 1인당 GDP는 2023년부터 2년 연속 증가했다. 다만 전년대비 증가율은 2023년 2.18%에서 2024년 1.28%로 낮아졌다.
지난해 1인당 GDP 증가 추산의 주요 이유는 한국 경제의 명목 규모를 보여주는 경상GDP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정부 전망에 따르면 경상GDP 증가율은 지난해 5.9%로 2021년(7.9%) 이후 가장 높다. 교역조건 개선과 물가 상승 등으로 우리 경제가 꾸준히 몸집을 불린 영향으로 분석됐다. 더불어 분모인 총인구 증가세가 둔화돼 1인당 GDP가 올라간 요인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는 정부 전망대로 경제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1인당 GDP는 3만7000달러대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발표한 올해 경상성장률(3.8%)을 적용하고 원/달러 환율이 작년과 같은 수준이 유지된다면, 올해 1인당 GDP는 지난해보다 1417달러 늘어난 3만7441달러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