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상문 기자] 부산 남구 용호동 오륙도 해안산책로에는 엄동설한 속 봄을 재촉하는 붉은 꽃의 향연이 펼쳐지지고 있다.
동백꽃의 친척뻘인 자생하는 애기동백이 선분홍빛 꽃망울을 터트리며 봄을 재촉하고 있다.
산과 들의 나무며 풀들이 깊은 겨울나기에 빠져 있을 즈음 홀로 붉게 피어난 애기동백은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발길을 잡는다.
어떤 이는 애기동백과 교감하듯 유심히 바라보다 밝은 미소를 짓고, 어떤 이는 동백나무 밑 둥지에 꽃송이째 ‘툭’ 떨어진 낙화의 안타까움마져 슬프도록 아름답다고 말한다.
한 겨울 추위속 꽃망울을 터트린 애기동백은 봄이 멀지 않았음을 알리는 자연의 전령이다. 고개 떨군 채 송이째 제 몸을 떨구는 동백은 예로부터 연인의 절개와 선비의 지조를 상징하기도 했다.
동백은 겨울 보내고 매화는 봄을 부른다. 동백은 그리움이고 매화는 반가움이다. 또 한 번의 그리움이 지나고 있다.
|
 |
|
▲ 봄이 오면 오륙도 해안산책로에 자생하는 동백은 동생 말에서 오륙도 수변공원까지 선 분홍빛 꽃을 수놓는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
 |
|
▲ 사람들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 꽃을 피운 애기동백이 반갑고 기특한 모양이다. 대부분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
 |
|
▲ 동백은 꽃이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추백' ,'동백'으로 불린다. '그대를 누구보다도 사랑한다'는 꽃말은 혼례에 생명과 굳은 약속의 상징으로 여긴다. /사진=미디어 펜 김상문 기자 |
[미디어펜=김상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