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저탄소 전환 관련 공통기본사업 및 경쟁공모사업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후평·사천·전주산업단지를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전환하는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5일부터 3월 17일까지 산업단지의 디지털 전환(DX)과 저탄소 전환(GX)을 위한 스마트그린산단 촉진사업 통합공모를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산업부는 산단 내 디지털 인프라 확대와 저탄소·고효율 혁신단지 구현을 위해 2019년부터 21개 산업단지를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지정하고, 공통기본사업과 산단별특성화사업 등 스마트그린산단 촉진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공모는 지난해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신규 지정된 강원후평과 경남사천, 전북전주 등 산단 3곳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저탄소 전환 관련 4개 공통기본사업과 전체 스마트그린산단을 대상으로 하는 경쟁공모사업(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1개다.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는 스마트물류플랫폼과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 등 2개 사업(330억 원)이 진행된다. 저탄소 전환 분야에서는 공통기본사업인 스마트에너지플랫폼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사업 및 통합운영센터(TOC+)사업과 경쟁공모사업인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사업 등 3개 사업(410억 원)이 추진된다. 산업부는 사업기간 3~4년간 총 740억 원 규모 국비를 지원한다. 

스마트물류플랫폼사업은 산단 내 물류센터에 자율이동장비 등을 도입하고, 물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플랫폼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산업부는 제조혁신 분야 고급인력 양성을 목표로 스마트제조 고급인력 양성사업에 인공지능(AI), 로봇 등 디지털 교육과정과 빅데이터 분석기사 등 관련 자격증 과정을 추가했다.

스마트에너지플랫폼 FEMS과 TOC+사업은 기존 FEMS을 넘어 다양한 센서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할 실증사업장을 선정하고, 탄소배출정보를 측정·기록·검증하는 TOC+를 구축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등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을 위한 기반 조성을 목표로 한다.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사업(분산에너지 촉진사업)은 대상 산단 내 공장 지붕 등에 태양광 20MW 이상을 구축하고, 분산에너지원(폐열, 소형풍력, SMR 등)을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또한 산단 내 전력거래 플랫폼을 구축해 에너지 사업자가 산단 내 입주기업과 직접 거래하도록 지원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단이 국가경제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산단 디지털화와 저탄소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며 "입주기업 맞춤형으로 디지털 전환을 지원해 첨단 신산업 기업을 유치하고, 산단 내 분산에너지 활성화와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을 위한 기반 조성으로 입주기업의 저탄소 전환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