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5일 "정부는 글로벌 관세 조치 확산에 대비해 비상수출대책과 유턴기업 지원 대책 마련 등 가용한 정책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했다.
|
 |
|
▲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긴급 화상 점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정 본부장은 이날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미국·멕시코·캐나다·중국·일본 등 주요국 상무관 및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무역관과 긴급 화상 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 불확실성에 대응해 현지 진출기업 현황을 점검하고, 정부 차원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 시간)부터 캐나다·멕시코산 수입품에 25%, 중국산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시작하기로 했으나, 시행을 하루 앞둔 3일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발표했다.
반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조치는 예정대로 발효됐다. 이에 중국은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 IT 기업인 구글에 대해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조사에 착수하는 등 보복 조치에 나서며 무역 전쟁 발발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정 본부장은 "캐나다·멕시코 관세 조치 유예에도 불구하고 향후 부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통상당국은 현지 공관을 통해 관련 동향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코트라 무역관에 우리 진출기업 애로 지원을 위한 '헬프데스크'를 즉시 가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비상한 시국인 만큼 상무관과 코트라가 혼연일체돼 현장 목소리를 바탕으로 진출기업 지원 방안을 적극 강구해 달라"고 주문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