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올해 출산장려금 28억 지급
지난해 출산장려금 지급 이후 사내 출산율 증가세
6·25 참전 유엔군 기리는 '유엔데이' 공휴일 제안
[미디어펜=김준희 기자]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올해도 출산 직원 자녀 1명당 1억 원을 지원하는 ‘통 큰 복지’ 행보를 이어간다. 건설업황이 좀처럼 침체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사회적 이슈인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두 팔을 걷었다.

   
▲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사진=미디어펜 김준희 기자


이 회장은 5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부영그룹 2025년 시무식에서 출산 직원 자녀 1인당 1억 원씩 총 28억 원 출산장려금을 지급했다.

지난해에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출산한 직원에게 총 70억 원을 지급한 바 있다. 올해를 포함해 현재까지 지급한 출산장려금은 총 98억 원에 달한다.

이 회장은 이날 신년사에서 “사회가 당면한 저출산 해결을 위해 직원 자녀 1명당 1억 원이라는 출산 장려금 복지가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이후 여러 기업이 잇따라 출산지원금을 늘리는 등 나비효과로 육아 복지 제도를 강화하기 시작했고, 정부와 국회에서도 기업이 지급하는 출산지원금에 전액 비과세라는 세법 개정으로 화답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제도를 통해 그룹 내에 퍼진 출산 장려 문화가 긍정적으로 지속돼 앞으로도 직원들의 출산율이 오를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부영그룹에 따르면 출산장려금 지급 이후 사내 출산율은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태어난 아이가 연평균 23명인데 반해 올해는 5명이 늘어난 28명이 혜택을 받게 됐다.

부영그룹 관계자는 “출산장려금 지급에 따른 경제적 부담 경감 효과에 힘입은 것으로 저출생 해법의 확실한 대안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부영그룹이 2025년 시무식에서 출산장려금 수여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김준희 기자


이 회장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자녀 1명당 1억 원이라는 파격적인 출산·육아 복지제도를 시행하는 이유는 저출생 문제가 국가 존립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각심 때문이다.

이 회장은 “대한민국의 저출생 문제가 지속된다면 20년 후 경제생산인구수 감소, 국가안전보장과 질서 유지를 위한 국방 인력 절대 부족 등 국가 존립 위기를 겪게 될 것으로 보고 해결책으로 출산장려금 지급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저희가 마중물이 돼 국채보상운동과 금 모으기 캠페인처럼 앞으로도 많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산을 지원하는 나비효과로 번졌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 회장은 이날 시무식에서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도 함께 제안했다.

이 회장은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여한 전쟁”이라며 “유엔군은 낯선 땅에서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고 그 희생 위에 대한민국이 존재하게 됐으나 지금은 점점 유엔군의 희생을 망각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동방예의지국의 면모를 갖춰 유엔군의 희생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공휴일로 재지정해 그 시대정신을 후세에 지속적으로 물려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엔데이는 국제 평화와 안전을 목표로 국제연합(UN)이 창설·발족한 1945년 10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국제연합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부터 1975년까지 공휴일로 지정돼 기념했으나 북한이 유엔 산하 여러 기구에 공식적으로 가입하게 되자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1976년 공휴일을 폐지한 바 있다.
[미디어펜=김준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