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미국 대표지수 상장지수펀드(ETF) 'TIGER 미국S&P500'과 'TIGER 미국나스닥100'의 총보수를 기존의 10분의 1 수준으로 전격 인하한다고 6일 밝혔다.

   
▲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미국 대표지수 상장지수펀드(ETF) 'TIGER 미국S&P500'과 'TIGER 미국나스닥100'의 총보수를 기존의 10분의 1 수준으로 전격 인하한다고 6일 밝혔다./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이에 대해선 최근 정부의 세법 개정으로 삼성자산운용의 동일 유형 상품이 토탈리턴(TR)에서 프라이스리턴(PR)으로 바뀌며 '정면승부' 구도가 펼쳐지자 '총보수 인하' 승부수를 띄웠다는 해석이 나온다.

미래에셋운용은 이날 두 종목의 총보수를 연 0.07%에서 0.0068%로 내린다고 공지하면서 인하한 총보수는 이날부터 적용된다고 함께 전했다.

미래에셋운용의 'TIGER 미국S&P500'·'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총보수 인하는 2020년 11월 연 0.3%에서 0.07%로 내려간 이후 약 4년 만의 조치다. 회사 측은 이번 보수 인하가 투자자들의 높은 성원에 보답하고, 미국 주식 투자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TIGER 미국S&P500 ETF'는 지난해 국내 전체 ETF 중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 1위를 차지한 상품이며, 아시아를 기준으로 봐도 최대 규모의 미국 대표지수 ETF로 손꼽힌다.

김남기 미래에셋운용 ETF운용부문 대표는 "2006년 국내 ETF 시장 첫 진출 이후 TIGER ETF는 투자자의 사랑으로 아시아 대표 ETF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었고, 이제 그 사랑에 진심으로 보답하고자 한다"면서 "TIGER ETF는 고객들의 장기 투자 파트너로서 앞으로 국내 투자자들이 미국 대표지수에 최소한의 비용으로 투자하는 시대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선언했다.

미래에셋운용의 이번 총보수 인하로 미국 대표지수 ETF 2종의 총보수는 경쟁사보다 크게 떨어졌다. 지금까지 S&P500·나스닥100 ETF 중 가장 낮은 총보수를 유지해온 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으로, 지난해 4월 '압도적인 보수인하'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두 상품의 총보수를 0.05%에서 0.0099%로 파격 인하한 바 있다.

배당금이 자동 재투자되는 TR형의 강점을 내세워 급격히 순자산 규모를 불렸으나, 최근 정부가 해외주식 TR형 ETF는 과세 형평에 어긋난다며 운용 금지령을 내리자 배당금을 분배하는 PR형으로 전환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