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사망사고 5년간 매년 3%씩 줄이겠다”
‘제2차 농업작업안전재해 예방 기본계획’ 마련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정부가 농작업 사망사고를 매년 평균 3%씩 줄이는 것을 목표로, 농작업 안전관리자를 육성하고 농업인안전리더 양성 교육을 강화하는 계획을 마련했다.


   
▲ 농기계 시연 현장./사진=농진청

최근 5년간 농작업 재해 사망자는 농업인안전보험 가입자 기준 연간 251명 수준이다. 농기계 사고가 전체의 54% 수준으로 가장 높고, 낙상 19%, 질병 6% 순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사전예방 노력·기술개발·안전문화 확산·인프라 강화 등 주요 분야 내용을 담은 '2차 농업작업안전재해 예방 기본계획'(20252029)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은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작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수립하는 5년 단위 계획으로, 1차 기본계획(20202024) 수립·시행 이후 이번 제2차 기본계획(2025~2029)이 수립된 것이다.

우선 안전사고 예방 활동을 펼치고 유해 요인 저감 기술을 보급해 2029년까지 농작업 사망 사고를 해마다 평균 3%씩 감소시키기로 했다. 실행되면 농작업 사고 사망 비율(만인율, 근로자 1만명 당 사망자 비율)이 현재 2.78에서 20292.38로 떨어지게 된다.

농식품부는 농작업 재해사고를 막기 위해 작업장의 위험성을 미리 진단하고 개선을 지원하도록 하는 '농작업 안전관리자'를 오는 2029년까지 120명을 육성키로 했다.

9개 도에서 안전재해 예방활동을 수행하는 농업인안전리더 양성 교육도 강화토록 했다. 안전재해 예방 교육콘텐츠는 3개에서 8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기계 사고 저감을 위해 농기계 사고 시 119상황실과 연계하는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농업 분야 중대·고빈도 사고 원인과 위험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농작업 환경 유해 요인 저감 기술을 개발해 보급키로 했다. 고령·여성농업인 등의 안전을 위한 섬유 등 고기능 첨단소재를 활용한 개인보호구와 스마트 안전 장비도 개발할 계획이다.

폭염 등 기후 위기로부터 농업인 안전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농작업 안전을 실천하는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농작업 안전 캠페인을 전개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폭염 재난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을 마련하고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을 올해부터 전국 51~70세 전체 여성농업인으로 확대하며, 접근성이 취약한 농촌에 농촌왕진버스 운영 지원과 증가하는 이주민 근로자에 대한 농작업 안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기반의 농작업 안전보건 기술정보 콘텐츠와 실습·참여형 스마트 콘텐츠도 개발해 보급한다.

농식품부는 농촌진흥청과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농작업재해예방협의회'를 통해 제도를 개선하고 농업인이 농작업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안전사고를 당할 경우 보험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정책보험 가입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윤원습 농식품부 농업정책관은 기본계획의 이행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강화해 나가고,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안전한 농작업 환경이 조성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