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정부 부처들에 이어 증권가에서도 중국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 접속 차단조치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 정부 부처들에 이어 증권가에서도 중국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 접속 차단조치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지난달 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등 내부 보안 조치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딥시크 접속 시 정보 수집에 따른 보안 우려가 제기된 데 따른 조치다. 필요시 추가조치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현재 거래소는 미국 오픈AI의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 등 서비스 이용은 막지 않고 있다.

한편 금융투자협회도 이날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아예 처음부터 딥시크 접속을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지난달 말 교보증권을 시작으로 신한투자증권, 대신증권, 하나증권, IBK투자증권, LS증권이 딥시크 접속을 막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달 들어선 다올투자증권, iM증권, 메리츠증권, 키움증권 등이 해당 조치에 동참했다.

전면적인 차단 조치를 시행하지는 않았더라도 사용 자제를 권고하거나 차단을 검토 중인 사례도 늘어나는 추세다. KB증권은 최근 임직원을 대상으로 딥시크 사용 시 유의 사항을 안내하고 다운로드 및 설치 자제를 권고하는 공지사항을 게시했다.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 SK증권, 한양증권 등은 관련 우려를 살펴보고 필요할 경우 차단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자산운용사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미래에셋운용과 KB자산운용은 접속차단 조치를 실시 중이고, 삼성자산운용은 사전에 인가받지 않은 사이트에 대해선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고 알렸다.

딥시크는 기존 AI 서비스에 비해 훨씬 적은 비용으로 개발돼 업계 전반에 일대 충격을 가했으나,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에 대한 각국의 우려가 커지면서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지난달 말 딥시크 본사에 관련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공식 질의서를 발송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우리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 주요 기업들에서 딥시크 접속 차단 조치가 연속되고 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